다음달 특사 방북키로
“북핵·인권등 진전 필요”
“북핵·인권등 진전 필요”
프랑스가 대북 특사를 임명하고, 다음달 특사 방북을 예고하는 등 북한과 국교 수립을 검토하고 있다. 유럽연합 27개국 가운데 북한과 수교하지 않은 나라는 프랑스와 에스토니아뿐이다.
한국을 방문 중인 자크 랑 프랑스 대북담당 특사는 7일 <한겨레> 등과 만나 “2주 전쯤 북한 당국에 프랑스 대통령의 특사로 방문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해 북한이 원칙적으로 수용 의사를 밝혔다”며 “다음달 7~9일 정도로 날짜를 잡고 있으나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랑 특사는 사견을 전제로 “북한의 비핵화 조처에 대한 보상단계에서 프랑스가 단독 또는 유럽연합의 이름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랑 특사는 하원의원으로, 문화부·교육부 장관을 지낸 좌파의 거물급 정치인으로 꼽힌다.
앞서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지난 1일(현지시각) 랑 의원을 북한문제 특사로 임명했다. 엘리제궁은 성명을 통해 “프랑스 정부가 북한과의 외교관계를 수립하는 문제를 고려할 수 있도록 자크 랑 의원이 상황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며, 대북 수교 문제를 공론화했다. 랑 특사는 한-일에 이어 중국과 러시아, 미국 등을 방문한 뒤 북한과 외교관계 수립에 필요한 보고서를 사르코지 대통령에게 제출할 예정이다.
프랑스의 대북 수교 움직임과 관련해, 정부 당국자는 “북한 문제가 국제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는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인 프랑스는 흐름에 뒤처지고 있다고 느끼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달리 보자면, 북한의 전방위적인 외교 공세의 일환인 측면도 있다.
하지만 엘리제궁이 “북한 핵문제와 남북한 관계, 북한인권 문제의 진전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듯이, 실제로 수교로 이어질지는 두고 볼 문제다. 2000년 6월 첫 남북 정상회담 이후 유럽연합의 다른 국가들이 북한과 외교관계를 맺었지만, 프랑스는 북한의 인권문제를 걸어 줄곧 대북 수교에 신중한 자세를 취해왔다.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