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보즈워스 미국 대북정책 특별대표(가운데) 일행이 8일 평양에 도착한 뒤 사진 촬영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평양/신화 연합
한반도평화포럼 토론회
보즈워스 방북 관련 “오바마 재임중 북핵해결 낙관적”
보즈워스 방북 관련 “오바마 재임중 북핵해결 낙관적”
“스티븐 보즈워스 미국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한차례 방북으로 북핵 문제 해결 국면이 바로 열릴 가능성이 그리 높지는 않다. 그러나 오바마 미 행정부 시기 북핵 문제 해결 전망은 기본적으로 낙관적이다.”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8일 열린 한반도평화포럼 제4회 월례토론회에서 ‘북-미 관계와 북핵 문제의 향방’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오바마 행정부 인사들의 북핵 인식이 (북한에 대한) 군사안보적 체제 보장이라는 문제의 핵심을 찌르고 있다”며 이렇게 밝혔다. 보즈워스 특별대표는 이날 북한과 대화를 위해 오산 미 공군기지를 통해 방북했다.
정 전 장관은 오바마 행정부가 북핵 폐기를 대가로 △군사안보적 우려 해소 △초기부터 고위급 수교협상 △경제개발 지원 등 비전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북한은 이른 시일 안에 6자회담에 복귀할 것이라며, “오바마 정부가 부시 행정부 시대처럼 검증기술 차원에서 북한의 선행동부터 요구하는 등 인습적으로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북한에도 “협상을 하면서 사실은 핵보유국 지위를 굳히려 한다고 읽혀지는 행동을 범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박선원 브루킹스연구소 초빙연구원(전 청와대 안보전략 비서관)은 “보즈워스 특별대표가 제3국이 아닌 평양에 가서 강석주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을 만나는 것도 미국의 입장을 아무런 왜곡없이 북한에 전달하고 그에 대한 반응을 듣고 싶기 때문”이라고 미국 쪽 분위기를 전했다. 박 연구원은 “보즈워스 특별대표가 미국의 대북정책과 한반도정책, 비핵화에 대한 여러가지 보상 등에 대해 다 얘기할 것”이라며 “북한은 보즈워스 특별대표의 1차 방북 성과를 통해 북-미간 2차 회담으로 끌고 가려는 생각이 있고 미국도 이에 대해 거부감이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이 보즈워스 특별대표에게 6자회담 복귀와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9·19공동성명 의무사항 이행을 약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