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아프가니스탄 재파병안을 공식 발표한 지 하루 만인 9일 탈레반이 성명을 내어 ‘나쁜 결말’을 경고했지만, 국방부는 10일 아프간 지방재건팀(PRT) 인원을 보호할 국군부대의 파병 동의안을 11일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탈레반은 9일 경고 성명에서, 한국군 재파병은 2007년 7·8월 한국 기독교 선교봉사단 납치 사건 때 한국이 아프간에서 군대를 철수하고 다시는 파병하지 않기로 한 약속을 깨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부는 당시 석방 협상 때 한국 정부가 ‘재파병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적이 없다고 공식 부인했다. 이태호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은 “한국은 2007년 12월 아프간에서 임무를 마치고 철군했는데, 철군한 나라가 재파병한 사례는 전무하다”고 말했다.
탈레반의 경고 뒤에도 여당인 한나라당과 정부 관계자들은 하나같이 “파병 방침은 전혀 변함없다”고 강조했다. 황진하 한나라당 제2정조위원장은 “이런 협박은 전형적이고 상투적인 테러집단의 파병 저지 책동”이라고 말했다. 원태재 국방부 대변인은 “파병부대는 아프간에선 비교적 안전한 지역에 주둔하고 철저한 안전대책을 세워 활동하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탈레반 성명이 나온 뒤 아프간 현지 교민의 안전조처를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작 아프간 현지에서는 한국 정부의 재파병 발표 뒤 탈레반의 보복 가능성이 커졌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아프간 북부 7곳에서 도로 공사를 벌이는 삼환기업 노조 쪽은 “최근 공사 현장과의 전화 통화도 어려울 정도로 상황이 어려워졌다”며 “정부가 말로만 ‘안전하다’고 할 게 아니라 현지 노동자들의 신변안전을 보장해줘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이용준 외교통상부 차관보는 11일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리처드 홀브룩 아프간·파키스탄 특별대표, 미셸 플러노이 국방부 정책담당 차관 등을 만나 아프간에서의 한국 지방재건팀 설치를 협의할 예정이다. 또 국방부와 합참은 다음주께 아프간에 정밀실사단을 보낼 예정이다.
권혁철 허종식 이용인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