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대학교 연구소 설문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대북 교류와 지원이 퍼주기로 폄하되고 있지만, 국민들은 대외 안보위협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북한과의 교류확대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가 지난해 하반기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갤럽에 맡겨 19살 이상 전국 성인남녀 1261명을 대상으로 안보의식 조사를 한 결과, ‘한반도의 안보위협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응답자의 33.6%가 ‘북한과의 교류확대’를 꼽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8일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군사력 증강(29.9%), 한-미협력체제 강화(18.0%), 일본·중국·러시아 등 주변국과의 협력강화(17.7%) 순으로 대답했다. 또 ‘남북교류협력이 북한의 체제변화에 영향을 주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0.1%가 ‘영향을 준다’고 응답했다.
정부의 바람직한 대북 지원정책에 대해 ‘사안에 따라 선별적으로 무상지원을 하거나 대가성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34.1%로 가장 높았고, ‘인도적 차원에서 지원해야 한다’(28.4%)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반면에 ‘상응한 대가를 받고 지원해야 한다’는 26.1%였고 ‘지원해서는 안 된다’는 응답은 11.4%였다.
북핵문제 해결 방안으로는 북한과 직접 협상·대화(32.1%)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6자회담과 대북 직접대화 병행(29.6%), 6자회담(23.3%) 순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95%의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2.83%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