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아태위 강경 담화…“부동산도 동결” 압박
북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위)는 4일 ‘남조선 당국이 금강산·개성 관광 재개를 계속 가로막을 경우 관광사업과 관련한 모든 합의와 계약을 파기하고 관광 지역의 남쪽 부동산을 동결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북쪽 아태위는 이날 대변인 담화를 통해 “남조선 당국이 생트집을 부리며 관광길을 계속 가로막는 경우, 우리는 부득불 특단의 조처를 취하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라며 “그 특단의 조처에는 남측에 특혜로 주었던 관광사업과 관련한 모든 합의와 계약의 파기, 관광지역 내 남측 부동산 동결 등의 문제들이 포함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북쪽이 “금강산·개성 관광 관련 합의와 계약 파기” 등을 가능성 차원에서나마 공식 언급한 것은 2008년 7월 금강산관광 중단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달 8일 열린 실무접촉을 먼저 제의하는 등 관광 재개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지만 남쪽 정부의 완강한 태도에 가로막히자, 다시 ‘압박’하는 자세를 취한 것으로 분석된다. 장용석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은 “민간 투자자인 현대아산을 담보 삼아 남쪽 정부가 관광 재개에 적극적으로 나서도록 압박하겠다는 것”이라며 “하지만 최근 해외자본 유치에 공을 쏟는 북쪽이 거기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계약 파기와 투자 동결 등에 실제로 나설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현대아산 관계자도 “북쪽도 계약을 파기하기보다는 관광을 재개하자는 뜻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현대아산의 금강산지역 내 자산은 각종 호텔과 항만, 도로, 상점 등 2260억원어치에 이른다. 협력업체들도 골프장 등 1300여억원을 투자했다.
정부 핵심 당국자는 “북한 최고위층의 관광 재개 지침에도 불구하고 성과가 없자 아태위가 조급한 마음에 대남 압박을 시도한 것 같다”며 “그렇다고 북한이 개성공단 등 다른 분야로까지 전면적으로 대남 압박을 강화할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통일부는 천해성 대변인 명의의 ‘입장’을 내어 “금강산·개성 관광 문제는 국민의 신변안전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신변안전 문제가 해결된 이후에 재개한다는 정부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