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위원장 “6자회담 재개위한 여건 조성 희망”
중 “우호관계 대대손손”…북 후계 지지 암시
중 “우호관계 대대손손”…북 후계 지지 암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에게 ‘경제협력 심화’를 비롯한 5개항을 건의하고, 김 위원장이 이에 동의하는 형식으로 양국이 사실상 전면적인 협력관계를 선언했다. 특히 양국간 경제협력 심화는 지난해 핵실험에 따른 대북 제재를 무력화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앞으로 한반도 정세에 끼치는 영향도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북-중 양국은 지난 5일 베이징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고위층의 상호 교류 △내정과 외교 문제, 국제정세에 대한 전략적 소통 강화 △경제협력 심화 △인문교류 확대 △국제와 지역 문제에서의 협력 강화 등 5개항에 사실상 합의한 것으로 <신화통신>과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이 7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후 주석의 이런 5가지 제안에 동의한 뒤 “호혜공영의 원칙에 따라 북한은 중국 기업이 북한에 투자하고, 양국간 실질적 협력의 빈도와 수준을 적극 높이는 것을 환영한다”며 중국과의 경제협력에 대한 기대를 표시했다.
또 원자바오 중국 총리는 김 위원장과의 지난 6일 회동에서 “중국은 북한의 경제발전과 민생개선을 적극 지지할 것이며 북한에 중국의 개혁개방과 경제건설의 경험을 소개해주고 싶다”고 말했다. 이는 중국이 우회적으로 북한에 개혁개방을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앞서 김 위원장은 다롄시를 시찰한 뒤 “세기적인 낙후성을 털어버리고 활력에 넘쳐 첨단의 높이에서 조화롭게 전진하는 대련(다롄)시의 전변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며 “동북지역의 급속한 발전은 중국 당과 정부가 제시한 동북진흥전략의 정당성과 생활력을 여실히 증명해주고 있다”고 밝혔다고 북한 <조선중앙통신>과 <중앙방송>이 이날 보도했다. 두 나라 최고지도부 사이에 경협 강화는 물론, 북쪽이 중국의 개혁개방 경험을 긍정적으로 수용한다는 데 일정한 교감이 이뤄졌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북핵 문제와 관련해, 김 위원장과 후 주석은 회담에서 “양국은 9·19 공동성명에 근거해 한반도 비핵화 목표 실현을 위해 공동 노력할 것”이라며 “6자회담 참가국들은 성의를 보여, 6자회담을 진전시키기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또 “한반도 비핵화를 견지한다는 입장에 어떤 변화도 없다”고 강조한 뒤, “관련 각국과 함께 6자회담 재개에 유리한 조건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은 “조-중(북-중)간 전통적 우의 관계는 시대의 풍파와 시련을 겪었지만 시간의 흐름과 세대교체로 인해 변화가 생겨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고, 후 주석은 “양국 우호관계를 대대손손 계승하는 것은 (북-중) 양국의 공통된 역사적 책임”이라고 화답했다. 이는 북한의 김정은 후계체제와 관련된 언급으로 짐작된다. 김 위원장은 4박5일간의 방중 일정을 마치고 7일 오후 3시55분(한국시각 4시55분)께 북한으로 돌아갔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이용인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