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안보환경 등 고려 융통성 있게 검토”
“계획확정 시간 걸려”…이달 말 실시 가능성
“계획확정 시간 걸려”…이달 말 실시 가능성
국방부는 13일 천안함 사건 후속조처로 계획했던 한-미 연합 해상훈련 계획이 결정되려면 일주일 이상은 걸리며, 훈련 장소를 서해로 한정하지 않고 융통성 있게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원태재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주까지는 이번주 월요일이나 화요일께 훈련 계획이 결정될 것으로 한국과 미국 사이에서 얘기됐으나 일주일 이상 걸릴 것 같다”며 “훈련의 시기와 규모, 방법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원 대변인은 “7월에는 여러 가지 국방, 외교, 안보 등 관련 일정이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서 훈련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한-미 연합 해상훈련은 21일 서울에서 열릴 예정인 한-미 외교·국방장관회의 이후에 시작할 가능성이 높다”며 “8월에는 한-미 연합 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 연습 일정과 겹치므로 한-미 해상 훈련은 7월 안에 하는 게 무리가 없다”고 말했다.
원 대변인은 훈련 장소에 대해서는 “이번 훈련은 천안함 사건 뒤 한-미의 방위 의지를 과시하는 것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특정 해역에서 훈련하는 게 중요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며 “한반도 안보 환경, 한-미간 대화, 군사적 효과 등을 다양하게 고려해서 시기, 규모, 장소 등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훈련 장소에 대해) 융통성 있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는 중국이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서해를 훈련 장소로 고집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지난 5월24일 국방부는 대북 무력시위 차원에서 천안함이 침몰한 서해에서 한-미 연합 훈련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