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방지 시설 허술 집·농경지 등 큰피해
북민협-민화협, 이번주 수재민돕기 논의
북민협-민화협, 이번주 수재민돕기 논의
북한과 중국 국경지역에 내린 폭우로 압록강 하류가 범람해 북한 신의주가 큰 피해를 봤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2일 “19~20일 중국 동북지방에 (최고 597㎜의) 폭우가 쏟아져 압록강의 수위가 갑자기 높아지기 시작해 강물은 잠깐 사이에 제방을 넘어 신의주 시내에까지 밀려들어 도로운행이 마비되고 많은 대상들이 피해를 입었다”며 “미처 손쓸 사이 없이 들이닥친 큰물로 기본 피해지역인 신의주시 상단리·하단리·다지리, 의주군 서호리와 어적도·막사도는 완전히 물에 잠겨 단층건물들은 지붕만 보이게 되었다”고 전했다. 상단리와 하단리는 신의주시 북쪽 압록강에 있는 위화도이며 다지리는 위화도 아래의 섬이다. 하지만 통신은 인명피해 여부는 밝히지 않았다.
중국 <신화통신>은 21일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신의주와 마주 보고 있는 단둥에서 잰 수량이 초당 2만8000㎥로 1949년 건국 이래 압록강 유역에서 일어난 사상 두번째 규모의 홍수라고 보도했다. 단둥 일대에서는 3명이 실종되고 주택 230여채가 붕괴됐으며 6만여명의 주민이 대피했다. 북한과 무역을 하는 단둥의 한 주민은 “신의주 쪽과 연락을 해보니 신의주 일대 집과 농경지 대부분이 물에 잠겼다고 한다”며 “단둥 쪽에는 압록강변에 둑이 있지만 신의주 쪽에는 강둑 등 홍수 방지 시설들이 허술해 피해가 큰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56개 인도적 대북 지원단체가 모인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는 이번주 중국 선양에서 북쪽 민족화해협의회(민화협) 관계자들을 만나 물난리를 당한 북한 주민들을 돕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북한은 지난달부터 계속되는 집중호우로 신의주 지역을 빼고도 5500여가구, 농경지 1만4800여정보(1억4677만1600㎡)가 침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양쪽은 애초 22~23일 접촉할 예정이었으나 북쪽 민화협이 내부사정으로 일정을 늦출 것을 요청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양쪽 접촉이 이뤄지면 천안함 후속 대책으로 북한과의 교류·교역을 전면 중단시킨 5·24조처 이후 첫번째 남북접촉이 된다.
권혁철 기자,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