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석주·김양건 등 서열 30위권에
미 제재대상 김영철 중앙위원 돼
미 제재대상 김영철 중앙위원 돼
북한이 28일 제3차 조선노동당 대표자회와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9월 전원회의에서 선출한 △당 중앙위 정치국 △당 중앙위 비서국 △당 중앙위원회 위원과 후보위원 명단을 보면, 대남 관계와 북-미 관계 등 대외 관계를 맡아왔던 실무자들을 대거 승진시켰다. 우선 당 중앙위원회의 핵심 기구인 정치국 위원에 북-미 협상을 주도해온 강석주 내각 부총리가 이름을 올렸고, 후보위원에는 김영일 당 국제부장, 김양건 통일전선부장이 진입했다. 모두 당내 서열 30위권안에 들어간 셈이다.
특히, 최근 내각 부총리에 오른 강석주는 17명뿐인 정치국 위원에도 선출돼 위상이 더욱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강석주 부총리는 1차 북핵위기 때인 지난 1994년 북-미 양자협상을 통해 제네바 기본합의를 이끌어내는 등 북-미 협상을 총괄해왔다.
아울러 김양건 후보위원은 북한의 대표적인 중국통이자 대남관계를 총괄하는 인물로 알려져 있고, 김영일 후보위원도 김정일 위원장의 방중 때 늘 수행하는 중국통이자 대외관계의 전문가로 꼽힌다. 그는 2003년 8월에 열린 1차 6자회담에서 북한쪽 수석대표를 맡은 적도 있다. 김양건·김영일이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올랐지만, 현재 맡고 있는 당 국제부장과 당 통일전선부장 역할은 바뀌지 않은 것으로 관측된다.
김계관 6자회담 북한 쪽 수석대표는 최근 외무성 부상에서 제1부상으로 승진한 데 이어 당 중앙위 후보위원에도 선출돼 내각뿐만 아니라 당쪽에서도 입지를 확보했다. 김계관 제1부상은 2005년 6자회담 9·19 공동성명과 2007년 2·13 및 10·3합의의 실무 주역이다. 전문가들은 대외 분야 실무자들의 승진 배치와 관련해 후계체제 구축 과정에서 대내적인 안정과 함께 북-미 관계 등 대외 관계를 안정적으로 가져가겠다는 뜻이라고 풀이했다.
북한이 천안함 사태 국면을 전환하기 위해 경질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던 김영철 남북장성급 회담 북쪽 대표단장(인민무력부 총정찰국장)은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에 선출됐다. 미국 정부는 지난달 30일 김영철 총국장을 천안함 사건 배후로 지목해 제재 대상으로 새로 지정한 바 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