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쇄된 남쪽 부동산 등 논의
북한이 금강산 관광 재개를 협의하기 위한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을 오는 15일 열자고 제의했다. 정부는 혹시라도 30일 시작되는 이산가족 상봉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나 않을까 우려해 즉답을 주지 못한 채 고심하고 있다.
북쪽 명승지종합개발지도국은 2일 남쪽에 통지문을 보내 “1일 북남 적십자 실무접촉에서 협의된 데 따라 금강산 지구 남측 부동산 문제, 관광재개 문제 등과 관련한 북남 당국간 실무회담을 15일 개성에서 열자”고 제의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전했다.
정부는 회담이 이산가족 상봉에 앞서 열릴 경우 자칫 북쪽이 또 한번 상봉행사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압박하는 고리로 삼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가 회담 날짜를 이산가족 상봉 직전이나 그 뒤로 수정 제의해 북쪽의 연계 가능성을 최소화하려 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앞서 남북은 1일 적십자 실무접촉에서 10월30일~11월5일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와 금강산호텔에서 하기로 합의했다. 또 북쪽이 금강산 관광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당국 접촉을 하자고 요구했고, 남쪽은 이후 북쪽이 제기하면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북쪽의 견해를 반영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2일 제3차 노동당 대표자회의 의미를 해설하는 기사에서 “오늘의 국제정세하에서 나라(북한)의 경제부흥과 조선반도의 평화보장, 북남관계의 개선은 서로 연계돼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북쪽의 강성대국 건설에 남북관계 개선이 중요한 관건의 하나임을 강조한 것이어서, 최근 북쪽의 잇단 대남 유화 자세와 관련해 눈길을 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