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방위 소속 여야 의원들이 18일 오전 경기 평택시 해군 2함대 사령부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두 동강 난 천안함을 살펴보고 있다. 해군 제공
김장수의원 “KNTDS·TOD 운용 엉망”
‘대양해군’ 용어 폐기 논란도 벌어져
‘대양해군’ 용어 폐기 논란도 벌어져
[국정감사 | 해군본부]
18일 경기도 평택 해군 2함대사령부 부두에 정박한 해군 수송함 독도함(1만4500t)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의 해군본부 국정감사에서 해군전술지휘통제시스템(KNTDS)과 열상감시장비(TOD) 운용 능력이 형편없어 천안함 관련 의혹을 자초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장수 한나라당 의원은 이날 “천안함 사고가 난 3월26일 당시 2함대사 당직자(밤 9시25분3초)와 해군작전사령부 당직자(밤 9시25분 27초)가 KNTDS 화면에서 천안함 표시가 깜박이다 사라진 것을 확인했다”며 “KNTDS는 함정에서 보내온 위치 신호가 소멸된 직후 3분 동안 깜박이다가 사라지기 때문에 KNTDS 화면에서 천안함이 사라진 시각의 3분 전인 밤 9시22분께가 사고 발생 시간”이라고 말했다. 김장수 의원은 “당시 2함대와 해군작전사 당직자는 일시적 위성 전송 불량으로 판단해 상급자에게 보고하지 않았다”며 해군의 부실 대응을 비판했다. 추가 영상이 연거푸 나와 벌어진 TOD 논란과 관련해, 김 의원은 “(천안함 사고 발생 8일째인) 4월2일 오전까지 초소에서 찍은 TOD 영상이 상급부대 서버에 디지털로 자동 저장된다는 장비의 기본기능에 대해서 해병대, 합동참모본부, 국방부 어느 누구도 알지 못했다”며 “허술한 TOD 장비 관리와 교육 때문에 군 전체의 신뢰가 땅에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이날 국감에서는 해군이 1995년 이후 비전으로 강조해오다 천안함 사건 이후 사용을 삼가고 있는 ‘대양해군’ 용어 폐기 논란도 벌어졌다. 김장수 의원과 정세균 민주당 의원은 질의를 통해 ‘천안함 여파로 해군의 구실을 연안 방어에 한정하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김성찬 해군참모총장은 “천안함 이후 대북 작전에 더욱 집중하자는 뜻이 오해를 불러온 것 같다”며 “대양해군을 유보하거나 중단한 것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평택/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