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도 핵실험 중단 등 촉구
“중 대북설득 나서게 압박”
“중 대북설득 나서게 압박”
미국 국무부는 11일(현지시각) 중국을 방문중인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이 북한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의 모라토리엄(유예)을 촉구한 데 대해 북한이 이행해야 할 행동 중 하나라고 거듭 밝혔다.
마크 토너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게이츠 장관은 하나의 예를 말했지만, 북한이 해야 할 것들은 더 많이 있다”며 “도발적 행동을 중지해야 하며 2005년 9·19 공동성명과 유엔안보리 결의안을 비롯한 약속들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미 행정부 고위 당국자도 이날 6자회담 재개 조건으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 복귀와 핵 및 미사일 발사 실험 중단 약속을 제시했다. 이 당국자는 “중요한 초기 조처는 국제원자력기구 요원들의 복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2007년 북핵 2·13 합의 이행 차원에서 영변 핵시설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 감시요원단을 받아들였지만, 2009년 4월 이들을 추방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에 대해 “우리는 외교로 대응하는 옵션을 열어놓고 있지만, 북한이 대화 테이블에 나오지 않고 미국의 우려사항을 다루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는다면, 그때는 국가안보를 위해 필요한 조처를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욕 타임스>는 이날 게이츠 국방장관이 북한을 ‘미국에 대한 직접적 위협’으로 거론한 것은 중국이 대북 설득에 나서도록 압박하려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신문은 게이츠 장관이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 출신이라는 점을 언급하면서, 이는 오바마 행정부가 지금까지는 북한의 미사일과 핵문제를 확산 방지에 뒀으나, 이제는 북한의 미 본토 핵공격력이 우려의 초점이 되는 중대한 변화가 일어났다고 평가했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