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전략연 남성욱 소장
“김일성 100번째 생일께
총비서직 승계할 것”
“김일성 100번째 생일께
총비서직 승계할 것”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소 남성욱 소장은 7일 “북한이 내년 4월15일 김일성 생일을 (북한 3대 후계체제 구축 완료의) ‘디데이’로 잡는 것 같다”고 말했다. 내년 4월15일은 고 김일성 북한 주석의 100번째 생일이다.
남 소장은 이날 서울 중구 한국언론회관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북한은 (노동당) 비서 시스템으로 총비서가 우리의 대통령과 비슷한 권한을 갖는다”며 이렇게 내다봤다. 내년 4월15일께 당대회나 당대표자회를 통해 현재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맡고 있는 총비서직을 후계자인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에게 승계함으로써 후계체제를 완성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남 소장은 “다만 김정일 위원장도 (권력세습에 따른) 레임덕을 걱정할 것”이라며 “이에 따라 내년 4월15일도 ‘김일성 민족’, ‘김일성 조선’이 완성되는 ‘김씨 패밀리’ (내부의 세습) 완성을 강조하는 이벤트성으로 가지 않겠나 싶다”고 말했다. “김정은을 띄우면 살아있는 권력이 급격히 약화된다는 경험을 (김정일) 본인이 했기 때문에 김정은도 3대가 내려오는 연장선상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남 소장은 또 “북한의 올 상반기 최대 이벤트는 김정은이 혼자 베이징에 알현하러 가는 이벤트”라며 “이걸 기반으로 6자회담이 돌아가고 남쪽에서 지원을 받으면 하반기에 이를 김정은의 업적으로 선전하며 새 직책을 맡는 것이 그쪽에서 희망하는 시나리오로 본다”고 말했다. 상반기 중국방문→하반기 승진→내년 4월15일 후계완성의 경로를 걸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남 소장은 북한이 지난해 8월 노동당 규약을 개정한 것과 관련해 “3대 세습을 목표로 한 것으로 추정한다”며 “특히 군에 대한 당의 통제를 강조한 부분은 세습과정에서 있을지 모르는 군부의 저항과 반란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에선 1991년 함남비행장 격납고에서 60여명의 군 장성들을 집단사살한 6군단 사건 등 군이 김정일 위원장 통치에 이의를 제기한 사건들이 그동안 많았다”며 “당 규약 개정은 총 가진 사람을 사상으로 누른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