럼스펠드 회고록서 밝혀
김정일 체제 전복 구상도
김정일 체제 전복 구상도
2006년 북한의 장거리미사일 대포동 2호 발사 당시, 조지 부시 미국 행정부는 미사일 요격을 검토했다고 도널드 럼스펠드(사진) 전 국방장관이 8일(현지시각) 밝혔다.
럼스펠드 전 장관은 이날 발매된 회고록 <알려진 것과 알려지지 않은 것>에서 2006년 7월4일 북한의 대포동 2호 미사일 발사 당시 상황을 전하면서, 부시 대통령이 미사일 요격 명령권한을 자신에게 위임했었다고 전했다. 럼스펠드 전 장관은 “즉각 발사할 수 있는 10여개 이상의 요격 미사일이 알래스카와 캘리포니아에 있었으며, 요격미사일이 날아오는 탄도미사일을 추적해 파괴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부시 대통령과 많은 논의를 한 뒤, “미사일 발사 뒤 수초가 결정적인 시간이며 요격명령은 짧은 시간에 결정돼야 하는 점을 고려해 ‘대통령이 국방장관에게 요격미사일 발사명령을 위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우리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그러나 럼스펠드 장관은 “북한 탄도미사일은 발사 42초 뒤 실패로 끝나 북한 영역에 떨어져 그날 요격미사일 발사명령을 내릴 필요가 없었다”고 전했다.
한편 럼스펠드 전 장관은 당시 외교·경제적 대북 압박을 통한 김정일 체제 전복 방안을 구상했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북한의 핵무기 포기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보고, “북한에 경제적 지원, 난방유 원조 등 유인책을 제공하기보다, 외교·경제적 압박을 강하게 펼치면 북한 군부의 고위 장성 일부가 김정일 체제를 전복시킬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