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순의사 4명 데려오라” 요구
북한 주민 31명의 송환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9일 열자고 북한이 남쪽에 제의했다. 그러나 실무접촉 장소와 방식을 둔 남북간 이견으로 실제 접촉 성사 여부는 불투명하다.
북쪽 조선적십자회는 7일 오전 대한적십자사(한적) 앞으로 전통문을 보내 “북한 주민의 전원 송환을 해결하기 위해 9일 오전 10시 판문점 중립국감독위원회(중감위)에서 적십자 실무접촉을 하자”고 제의했다. 북쪽은 전통문에서 “박용일 적십자회 중앙위원을 비롯한 3명이 남쪽에 귀순 의사를 밝힌 4명의 가족과 함께 나올 것”이라며 “남쪽도 귀순 의사를 밝힌 당사자 4명을 데리고 나오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한적은 이날 낮 보낸 답신 전통문을 통해 “귀순 의사를 밝힌 4명의 자유의사를 확인하는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적십자 실무접촉을 9일 오전 10시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자”고 수정 제의했다. 하지만 남쪽은 9일 실무접촉이 열려도 북쪽 요구대로 귀순자 4명을 회담장에 데려가진 않을 것이라고 통일부 당국자가 밝혔다. 정부는 대신 실무접촉에서 유엔사 중립국감독위 관계자 등 제3자를 참석시켜 귀순자 4명의 ‘자유의사’를 간접 확인하도록 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쪽은 한적 답신에서 “귀순자 4명을 제외한 27명을 오늘(7일) 판문점을 통해 송환하겠다”며 북쪽의 수용을 촉구했다. 그러나 북쪽은 이날 오후 전통문을 다시 보내 “31명 전원 송환” 등 기존 요구를 반복했다. 정부도 8일 기존 수정제의 내용을 그대로 다시 북쪽에 전달하기로 했다.
실무접촉이 열릴 경우 주민 송환 문제와 더불어 이산가족 상봉과 대북 인도적 지원 등 남북 사이 인도주의 현안이 거론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