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화산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남북 민간 전문가회의에 참가한 유인창 남쪽 수석대표(오른쪽)와 윤영근 북쪽 단장(왼쪽)이 29일 오전 경기 파주 문산읍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도라산/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전문가회의…북, 내달초 만남·현지조사 등 제안
남북 지진·화산 전문가들이 29일 만나 백두산 화산과 관련한 공동연구 필요성에 공감대를 이뤘다. 북쪽은 이날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에서 열린 백두산 화산 관련 남북 전문가회의에서 4월 초에 회의를 다시 열자고 제의했고, 남쪽은 검토 뒤 빠른 시일 안에 답을 보내기로 했다.
남쪽 수석대표인 유인창 경북대 지질학과 교수는 회의 뒤 브리핑에서 “북측은 백두산 화산활동에 대한 공동연구 필요성을 강조하고, 학술토론회와 현지 공동조사를 하는 방안을 설명했다”며 “남측은 공동연구에 앞선 사전연구 필요성과 실태 파악을 위한 자료교환 방안을 제기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공동연구 방식을 협의하자는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그는 “북측은 구체적 백두산 화산활동 징후에 대한 언급은 없었지만, 남측 과학자들이 전혀 접근할 수 없었던 지역의 훌륭한 자료를 북측이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북쪽 단장인 윤영근 화산연구소 부소장 겸 지진국 부국장은 회의 초반 “일본 지진 뒤 우리 지하수 관측공에서 물이 약 60㎝ 출렁거리고, 샘물에서 감탕(흙탕물)이 나왔다. (방사능 오염 물질이) 우리 측에도 미칠 것 같아 적극적으로 감시한다”며 일본 지진 사례를 들어 우회적으로 백두산 화산활동에 대한 남북 공조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 북쪽에선 윤 단장과 장성렵 화산연구소 실장, 주광일 조선지진화산협의회 위원이, 남쪽에선 유 수석대표와 김기영 강원대 지구물리학과 교수,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이강근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가 참여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