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국회에서 열린 국방부 종합국정감사에서 <한겨레>가 보도한 ‘군 인사 문제’가 집중적으로 거론됐다. 가장 먼저 질의에 나선 민주당 정세균 의원은 <한겨레> 기사(10월5일치 1·4·5면 ‘전 정권 장교 살생부 논란’ 기사)를 거론하며 “이게 정말 군의 현실인지 믿어지지 않았다”며 “군의 진정한 전투력은 탱크, 비행기, 미사일 같은 무기가 아니라 사람에서 나오는 것 아니냐”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관진 국방장관은 “지역은 인사에 있어 고려대상이 아니다. 특정 지역에 편중해 인사하지 않고 품성과 전문성을 고려하겠다”는 원론적인 답을 내놨다.
한나라당 김장수 의원도 “‘살생부’가 존재하나, 안 하나. 그에 대해서 불이익 준 적 있나, 없나”라고 물은 뒤 “나중에라도 (살생부의 존재가) 밝혀지면 장관이나 저나 입장이 난처해진다”며 김 장관을 추궁했다. 김 장관은 이에 대해서도 “근본적으로 군에서 살생부라는 용어는 들어본 적이 없고, 사용도 안 하고 있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육군총장, 국방장관을 해본 제 경험에 비춰보면 장군 인사 과정에서 청와대에서 장관이나 총장 뜻과 상반되는 이야기를 할 경우, 설득하고 이해시켜서 (군에서 마련한 인사 기조를) 관철시켰다”며 군의 줏대 있는 인사를 주문했다.
4성 장군 출신인 민주당 서종표 의원은 <한겨레> 기사의 일부분 몇 구절 읽어준 뒤 김 장관에게 “이 기사를 읽어봤느냐”고 물었다. 김 장관은 굳은 표정으로 “읽어봤다”고 답했다. 서 의원은 “언론 보도가 민심과 군심을 반영하는 것”이라며 “군을 진정 사랑한다면 (정치권의) 외압에서 벗어나 제대로 된 인사를 해달라”고 말했다. 안규백 의원도 “진정으로 책임의식과 멸사봉공의 의식을 가지고 인사에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