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성 의원 주장…기무사 “대책회의 없었다”
지난달 국군기무사령부 소속 요원들이 조선대 기광서(48) 교수의 전자우편 등을 해킹한 사실이 드러난 뒤, 기무사령부에서 이 사건을 축소·은폐하기 위한 대책회의를 열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기무사의 조직 특성상 민간인 사찰이나 은폐 과정에 기무사 수뇌부가 개입됐을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민주당 기무사민간인사찰 진상조사위원회(위원장 최재성 의원)는 23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기무사가 초기에 사건을 축소·은폐하기 위한 대책회의를 가졌다는 구체적인 제보가 있다”며 “현재 확인 절차를 거치고 있으며 사실이 확인되면 분명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군 내부에선 사건 초기부터 기무사령부에서 수뇌부들이 참석한 가운데 수차례 대책회의가 열렸고, 이 회의에서 내려진 결정에 따라 조직적인 증거인멸이 이뤄졌으며, 윗선인 국방부에도 이를 숨긴 것으로 보인다는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다. 군 수사기관 관계자는 “사건 초기에는 31사단 헌병대가 수사를 주도하고 국방부 조사본부 전문요원들이 현지에 내려가 지원 업무를 맡았는데, 이 과정에서 증거인멸 혐의를 상당부분 확보한 것으로 안다”며 “하지만 기무사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헌병이 내심 답답해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기무사는 이에 대해 “그런 대책회의를 한 적도 없고 은폐를 시도한 바도 없다”고 밝혔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