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외교도 ‘김정은 대화 파트너로 인정’ 입장 밝혀
류우익 통일부 장관이 5일 “천안함, 연평도 사건에 대한 사과는 남북 대화의 전제 조건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을 남북대화의 파트너로 인정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정부가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을 계기로 그동안 갈등이 장기화해온 남북관계의 개선을 추진할 뜻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류우익 장관은 이날 대통령 업무보고 뒤 기자회견을 열어 천안함·연평도 사건에 대한 사과와 관련해 “대화의 전제 조건이 아니며, 대화의 핵심 의제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다. 류 장관은 “남북간에 고위급 대화채널이 구축되고 운용될 수 있다면 천안함·연평도 사과 문제를 포함해 이산가족 상봉,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등 모든 현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류 장관은 “당시 책임자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이후에도 천안함·연평도 사건에 대해 북이 사과해야 한다는 정부의 입장에는 전혀 변화가 없다”며 기존 방침도 재확인했다.
류 장관의 이런 발언은 ‘사과 없이는 대화 없다’는 기존 방침에서 한발 물러난 것이다. 그러나 천안함·연평도 사건을 없던 일로 넘길 수는 없다는 뜻도 함께 밝혀, 천안함 사건에 대한 책임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북한이 긍정적 반응을 보일지는 불투명하다. 류 장관은 대화의 재개와 관련해선 “여건이 되면 제의한다”며 남쪽이 먼저 대화를 제안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성환 외교부 장관도 이날 내외신 정례 기자회견에서 후계자 김정은 부위원장을 남북 협상의 파트너로 인정할지 여부와 관련해 “북한과 회담을 하면서 거기에 합당한 직위를 가진 사람이라면 그분과 회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원 기자, 박병수 선임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