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북쪽 노동자가 지난 2004년 말 공단 가동 이후 처음으로 5만 명을 넘어섰다. 사진은 북쪽 노동자들이 개성공단 출퇴근길 도로를 보수하고 있는 모습. 통일부 제공
생산액도 연4억달러 넘어
‘한국산 인정’ 해결과제로
‘한국산 인정’ 해결과제로
개성공단의 북쪽 노동자의 숫자가 처음으로 5만명을 돌파했다. 생산액도 연 4억달러를 넘었다.
통일부 서호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은 1일 “지난달 26일 북쪽이 449명을 추가로 공급함에 따라 개성공단에서 일하는 북쪽 노동자의 숫자가 5만315명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2004년 55명이었던 개성공단의 북쪽 노동자들은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7년 2만3529명에 이르렀으며, 이명박 정부 들어서서도 꾸준히 늘어났다.
5만명 가운데 다수는 개성시에서 오는 노동자들이며, 인근 장풍군, 개풍군 지역의 노동자들도 일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북쪽 노동자의 72%가 여성이며, 30~40대가 68%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개성시 인구가 30만명 정도이므로 개성시와 주변 지역의 청·장년 여성 상당수가 개성공단에서 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북쪽 노동자들은 현재 123개 기업에 한 회사 평균 390명씩 고용돼 한달에 1인당 평균 110달러를 임금으로 받는다. 여기서 세금과 보험료를 제외하고 55% 정도를 노동자들이 가져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 단장은 “개성공단 노동자 1명의 소득으로 4명 정도의 생활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또 2011년 개성공단 생산액은 4억달러를 넘었으며, 2004년 이후 7년만에 누적 생산액도 15억달러가 넘었다. 업종별로는 섬유의 생산액이 전체의 50%를 넘었으며, 그 다음으로 전기전자, 기계금속, 화학 업종이었다.
그러나 현재 유일한 남북 경제협력 사업인 개성공단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시급한 일은 교통과 숙소 문제를 해결해 현재 2만명 가량 부족한 노동력을 추가로 공급받는 일이다. 3통 문제도 중요하다. 남쪽은 하루 중 아무 때나 드나들 수 있도록 하고(통행), 이동전화와 인터넷을 쓸 수 있도록 하며(통신), 통관 검사도 완화할 것을 원하고 있으나, 북과 협의가 안 되고 있다. 또 한-유럽연합, 한-미 자유무역협정에서 개성공단을 역외가공지역으로 인정받는 일도 중대한 과제로 남아있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