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위성 탑재 의미…평화적 목적 또 강조
“궤적에 문제땐 지상서 폭발시키도록 설계”
“궤적에 문제땐 지상서 폭발시키도록 설계”
오는 12~16일로 예고한 장거리 로켓 발사를 앞두고 북한은 ‘광명성 3호’(인공위성)를 발사하기 위한 모든 조립과 준비를 완료했다고 10일 밝혔다.
북한의 로켓 발사를 책임지고 있는 조선우주공간기술위원회 산하 우주개발국의 류금철 부국장은 이날 평양에서 외신 기자들과 기자회견을 열어 이렇게 말했다고 <에이피>(AP) 통신 등이 보도했다. 류 부국장은 평북 철산군 동창리 발사대에 세워진 운반 로켓 ‘은하 3호’에 10일 인공위성 탑재작업을 했다고 덧붙였다.
로켓 발사를 위한 연료 주입 작업의 진행 상황에 대해선 외신 보도가 엇갈리고 있다. <에이피> 통신은 류 부국장이 “연료 주입을 포함해 발사 준비를 마쳤다”고 말한 것으로 전했다. 그러나 미국 <엔비시>(NBC) 방송은 연료 주입 여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류 부국장이 대답하기를 꺼렸다고 보도했다.
류 부국장은 “1단 로켓이 필리핀 육지로부터 160㎞, 2단 로켓은 190㎞ 거리에 있는 해상에 떨어질 것”이라며 “궤적에 문제가 생길 경우엔 육상 지휘소에서 폭발시킬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고 말했다. 필리핀과 일본 등 주변국가들이 자국 영토 안에 1, 2단 추진체가 떨어질까 우려하는 것에 대한 해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위성 발사는 북한의 우주 탐사 프로그램을 평화적으로 발전시켜나가는 의미”라며 “위성 발사가 미사일 실험을 은폐하기 위한 것이라는 비난은 말도 안 된다”고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그는 이번에 발사하는 로켓과 탄도미사일의 유사성은 인정하면서도 “탄도미사일 발사에는 고체 연료가 사용되는 반면, 광명성 3호 위성 발사에는 액체 연료가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청와대에서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김관진 국방부 장관, 류우익 통일부 장관, 천영우 외교안보수석비서관 등이 참석한 외교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열어 대응책을 숙의했다. 앞서 김관진 국방장관은 이날 리언 파네타 미국 국방장관과 통화해 “북한의 로켓 발사는 중대한 도발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새누리 김형태 ‘제수씨 성추행’ 녹취록 들어보니
■ 문재인 무허가 건물이 이 부분? “아, 애잔하다”
■ 유인촌, 문대성에 “IOC위원, MB가 만들어준것”
■ 낸시랭, 비키니 입고 “투표합시다~ 앙!”
■ 40대 유부녀가 제대로 바람나면?
■ 새누리 김형태 ‘제수씨 성추행’ 녹취록 들어보니
■ 문재인 무허가 건물이 이 부분? “아, 애잔하다”
■ 유인촌, 문대성에 “IOC위원, MB가 만들어준것”
■ 낸시랭, 비키니 입고 “투표합시다~ 앙!”
■ 40대 유부녀가 제대로 바람나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