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에 못보낸 식량 가득 월드비전, 굿네이버스 등의 단체로 이뤄진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회원들이 22일 오전 서울 태평로 한국언론회관에서 정부의 제한으로 북한 주민들에게 전달되지 못하고 있는 식량과 농업용품 등을 쌓아놓은 채 인도적 대북지원 재개를 촉구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정부, 북한에 뭘 지원할까?
10일 북한이 남한의 수해 지원 제안을 수용한 것과 관련해 정부가 실제로 무엇을 지원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은 10일 남한의 수해 지원 제안에 답변 통지문을 보내면서 “남쪽에서 보낼 수 있는 물품과 수량을 알려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통일부의 담당 관리는 “북한이 원하는 물품이 무엇인지를 북한에 물어볼 계획이며, 정부가 보낼 수 있는 물품에 대해서도 관계 부처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에 수해 지원을 제안했지만, 정부가 보낼 수 있는 물품에 대해서는 정부 안에서 아직 조율이 끝나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대북 수해 지원과 관련해 논란이 되는 것은 쌀과 시멘트다. 정부는 지난 2010년 북한 수해 때 쌀과 시멘트, 중장비를 지원해 달라고 북한이 요구했을 때 중장비를 제외한 쌀과 시멘트를 지원했다. 그러나 쌀을 모두 보내고 시멘트를 지원하는 와중에 북한의 연평도 포격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정부는 2011년 북한 수해 때는 쌀과 시멘트가 군사용으로 전용될 수 있다며 지원 물품에서 제외했다. 대신 영유아 영양식과 영양 과자, 초코파이, 라면 지원을 제안했다. 이 제안은 북한에서 받아들이지 않아 이 해의 수해 지원은 무산됐다.
따라서 정부는 이번에 북한에 수해 지원을 제안하면서 쌀과 시멘트 지원이 관건이라는 점을 고민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북한이 지원할 수 있는 물품을 알려달라는 요구에는 선뜻 쌀과 시멘트를 포함한다고 밝히지 못하고 있다. 쌀과 시멘트를 지원하다가 연평도 포격을 당했는데, 또 쌀과 시멘트를 지원해야 하냐는 정부 안 매파들의 비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정부가 쌀과 시멘트를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하지 않은 상태에서 북한이 이를 받아들일지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 문제를 고려해 밀가루 지원과 같은 우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북한의 수용 가능성이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로서는 수해를 지원한다는 명분과 지원하고 뺨 맞은 물품을 다시 보내야 하느냐는 명분 사이에서 고민할 수밖에 없어 보인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소망교회 담임목사가 교회땅 몰래 팔아
■ 김기덕 “문재인의 국민이 되고 싶다”
■ 정부 ‘감세로 경기부양’…지자체 “취득세 보전 협의안돼” 반발
■ 한국인 선원 4명, 5백일이나 소말리아 해적에 억류
■ 택시기사 “정준길, 안철수 나오면 죽는다고 고압적으로 얘기”
■ “단원 ‘풍속도첩’은 김홍도 작품 아냐”
■ [화보] 온 마을을 뒤덮은 배추
■ 소망교회 담임목사가 교회땅 몰래 팔아
■ 김기덕 “문재인의 국민이 되고 싶다”
■ 정부 ‘감세로 경기부양’…지자체 “취득세 보전 협의안돼” 반발
■ 한국인 선원 4명, 5백일이나 소말리아 해적에 억류
■ 택시기사 “정준길, 안철수 나오면 죽는다고 고압적으로 얘기”
■ “단원 ‘풍속도첩’은 김홍도 작품 아냐”
■ [화보] 온 마을을 뒤덮은 배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