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오전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자유로 당동나들목 부근에서 경찰이 대북 전단 살포 차량을 막아서고 있는 동안 군 차량이 지나가고 있다. 파주/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정청래 의원 “통일부의 대북 전단 살포 단체 지원 부적절”
통일부가 임진각에서 대북 전단 살포를 예고해 군사적 긴장을 촉발했던 북한민주화추진연합 소속 대북 단체들에 1억원을 지원한 것으로 드러났다.
24일 정청래 민주통합당 의원(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이 공개한 자료를 보면, 통일부가 지난해부터 최근 2년 동안 ‘민간 통일운동단체 지원 공모사업’을 통해 지원한 민간단체 가운데 5곳은 지난 22일 임진각에서 대북 전단 살포를 계획했던 북한민주화추진연합회(북민연)에 소속돼 있거나 소속된 단체의 대표들이 운영하는 단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 지원을 받은 단체는 북한민주화운동본부,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세계북한연구센터, 평화통일탈북인연합회, 한반도미래재단 등 5곳이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은 지원을 받은 단체는 북한민주화네트워크로 2년 동안 모두 4000만원을 지원받았다. 세계북한연구센터와 한반도미래재단은 각각 2000만원을, 북한민주화운동본부와 평화통일탈북인연합회는 각각 1000만원씩을 지원받았다.
북한민주화운동본부와 평화통일탈북인연합회 2곳은 북민연 참여단체로 이름이 올라 있으며, 북한민주화네트워크는 북민연 참여단체는 아니지만 이 단체 강철환 이사가 북민연에 참여하고 있는 북한전략센터의 대표를 맡고 있다. 세계북한연구센터 역시 북민연 소속은 아니지만 안찬일 소장이 북민연에 참여하고 있는 세계탈북인총연합회의 대표를 겸하고 있다. 한반도미래재단의 경우 북민연 소속 세계탈북인총연합회의 안찬일 대표가 자문위원을 맡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 의원은 “통일부가 어떠한 명목으로든 대북 삐라 살포 단체를 지원하고 있는 것은 적합치 않다”며 “대북 삐라 살포단체에 대한 지원을 즉각 중단하고 민간단체 지원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은 24일 열린 통일부 국정감사에 나와 이런 사실에 대해 “통일부 자금을 지원받는 단체가 있긴 하지만 다른 건으로 지원을 받는 것으로 전단 살포와 관련해 통일부가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한편 누리꾼들은 “내가 낸 세금 제발 제대로 쓰여지길(@qna****)”, “통일부가 아니라 통일 저지부(@jk0****)”라는 등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무늬만 검찰’…서면조사로 귀막고 현금 6억 출처 눈감고
■ 학생 잇단 자살 책임 묻는다더니, 대구교육청 국감 안했다
■ ‘트러블메이커’ 김성주, “박근혜는 화이트골드미스”
■ [권태선 칼럼] 박근혜 시대가 두렵다
■ [기고] 나로호 3차 시험발사 유감 / 정선종
■ 삶의 작은 쉼표 하나, 템플스테이 10년
■ [화보] 내가 바로 ‘아이패드 미니’
■ ‘무늬만 검찰’…서면조사로 귀막고 현금 6억 출처 눈감고
■ 학생 잇단 자살 책임 묻는다더니, 대구교육청 국감 안했다
■ ‘트러블메이커’ 김성주, “박근혜는 화이트골드미스”
■ [권태선 칼럼] 박근혜 시대가 두렵다
■ [기고] 나로호 3차 시험발사 유감 / 정선종
■ 삶의 작은 쉼표 하나, 템플스테이 10년
■ [화보] 내가 바로 ‘아이패드 미니’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