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방·북한

북 핵실험 갱도는 수백m ‘망치 모양’
9개 차단문 달아 핵폭풍 ‘완충 역할’

등록 2013-02-04 20:32수정 2013-02-04 22:29

국방부, 2차 실험장소 구조도 공개
고산지형 활용 수평으로 파
90도로 4번 꺾어 충격 흡수
첫번째 차단문은 3중 강철문

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 갱도 구조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수평으로 된 핵실험 갱도는 핵폭발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 9개의 차단문을 설치하고 10차례나 각도가 꺾여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5일 국방부는 2009년 2차 핵실험을 했던 갱도로 추정되는 평면 구조도를 공개했다. 2010년 9월8일 북한의 <조선중앙텔레비전>이 방영한 영화 <내가 본 나라> 4부에서 나타난 핵실험 구조도를 한국과 미국의 핵 전문가들이 분석한 내용이다. 이 영화의 내용이나 갱도 구조로 볼 때 2차 핵실험 갱도의 모습으로 판단된다는 것이다. 이 영화는 북한의 2차 핵실험을 선전하고 정당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국방부의 분석을 보면, 북한의 핵실험 갱도는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만탑산(2205m)의 중턱께 자리잡고 있다. 북한은 땅을 수직으로 수백~1000m 파서 핵실험을 한 다른 나라들과 달리 고산지대의 허리를 수평으로 파서 갱도와 핵실험 장소를 만들었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이런 방식은 북한의 고산 지형을 이용한 고유한 방식”이라고 평가했다. 만탑산은 화강암으로 돼 있어, 갱도 역시 화강암을 파서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너비·높이 2~3m, 길이 수백m로 추정되는 갱도의 모습은 망치의 모습을 닮았다. 망치의 머리 중심에 핵실험 장치 설치 장소가 있다. 핵실험을 위해서는 갱도를 파서 핵폭탄과 방사능·지진파 등 계측 장비를 갱도의 가장 깊숙한 곳에 설치한다. 그리고 핵실험 장소와 갱도 밖의 통제소를 연결하는 수천t의 케이블을 연결한다. 그 뒤엔 흙, 자갈, 모래, 석고, 시멘트 등으로 갱도를 되메운다. 갱도를 되메운 뒤에는 외부의 통제소에서 핵실험을 한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오른쪽)이 4일 오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에 출석해 북한 핵실험과 관련한 현안보고를 한 뒤 자리로 돌아오고 있다. 가운데는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왼쪽은 박태호 통상교섭본부장.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류우익 통일부 장관(오른쪽)이 4일 오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에 출석해 북한 핵실험과 관련한 현안보고를 한 뒤 자리로 돌아오고 있다. 가운데는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왼쪽은 박태호 통상교섭본부장.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핵폭탄 설치 장소는 강철로 된 3중 차단문으로 밀폐된다. 이 안엔 계측 장비도 설치돼 있다. 핵폭발이 이뤄지면 수백m의 갱도와 9개의 차단문(또는 차단벽)을 거치면서 그 충격을 모두 흡수하도록 돼 있다. 먼저 1~4차단문까지는 각 차단문 뒤에서 갱도가 90도로 4번 꺾인다. 그리고 4차단문 뒤엔 첫번째 폭풍·잔해 흡수공간(격납용기)이 나타난다. 핵실험 장소에서 3~4차단문까지는 핵폭발의 충격이 강하게 닿는 곳이어서 이를 완화하기 위해 갱도가 모두 직각으로 꺾여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1차단문은 3중 강철문이지만, 2~9차단문은 문인지 벽인지 확실치 않고 재질도 알 수 없다. 핵폭발의 초고열로 화강암이 녹아 3~4차단문까지는 갱도와 차단문이 모두 무너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4차단문 이후에는 갱도가 조금씩 꺾이면서 대체로 남쪽을 향하고 있다. 여기서 서쪽 입구까지 5~9차단문이 있고, 폭풍·잔해 흡수공간이 2개 더 나온다. 이들을 거치면서 핵폭발의 충격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핵실험 뒤 중요한 것은 핵폭발로 인해 제논과 크립톤 등 방사성 기체가 새어나오지 않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는 2006년 북한의 1차 핵실험 때 일직선 갱도를 사용해 방사성 기체가 유출됐고, 2차 때는 이렇게 꺾인 갱도를 사용해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했다.

이 핵실험 갱도 구조도의 신뢰도와 관련해 국방부 관계자는 “한·미의 핵 전문가들이 분석한 결과, 북한의 실제 핵실험장 구조로 보인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2010년 북한을 방문한 적이 있는 미국의 시그프리드 헤커 전 로스앨러모스 국립핵연구소장도 분석에 참여했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삼성 사망자 기도서 수포”…다량의 불산에 노출된 듯
북 핵실험 갱도가 ‘망치 모양’인 이유
당선인 복심 이정현, 청문회 비판 가세
‘달덩이 얼굴’ 부기 빼려면…? 노하우 공유 사이트에 물어봐!
피곤한 간 때문에 먹는 약, 사실은 소화제였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평화를 위해 당당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2.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3.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4.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5.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