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방부 보고서 “3만7천여명”
주한미군 “통계 달라 확인 요청”
주한미군 “통계 달라 확인 요청”
2006년 이후 2만6000~2만9000명 선을 유지해오던 주한미군의 규모가 9000명가량 크게 늘어난 사실이 2012년 미국 국방부 보고서에서 나타났다. 이는 한-미 간에 2만8500명으로 정한 주한미군 규모를 크게 웃도는 것이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0일 미국 국방부가 해마다 발표하는 <기지 구조 보고서> 2005~2012년치를 보면, 2011년 9월30일 기준으로 한국에 주둔한 미군은 3만7354명으로 2008년 한-미 정상이 합의한 2만8500명보다 8854명이 더 많았다. 미군 규모가 가장 적었던 2009년에 견줘 보면 1만1049명이 늘어난 것이다. 주한미군의 규모는 2004년 3만7997명이었다가 미국 정부의 해외 주둔군 재배치 계획에 따라 2005년 3만2422명, 2006년 2만9477명, 2007년 2만8356명, 2008년 2만7968명, 2009년 2만6305명으로 해마다 줄었다. 그러나 2010년 3만1839명, 2011년 3만7354명으로 다시 급격히 늘어난 것이다.
김종대 <디펜스21플러스> 편집장은 “미국이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의 전쟁이 끝나면 병력을 아시아·태평양으로 이전하겠다고 말해왔다.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미군을 이동시키는 이른바 ‘전략적 유연성’이 현실화한 것이 아닌가 한다”고 추정했다. 그러나 주한미군은 이런 인원 증가를 부인했다. 김영규 주한미군 공보관은 “현재 주한미군의 공식 규모는 2만8500명이다. 이 보고서의 통계가 우리가 파악하고 있는 실제 주한미군의 규모와 달라 미국 국방부에 확인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진영 낯뜨거운 ‘박비어천가’…“대통령께 업무보고 가슴 벅찬 감동”
■ 청와대, 김학의 성접대 의혹에 ‘허탈’…선긋기 급급
■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귀국한 이유는?
■ 자살한 울산 복지공무원 유서 내용이…
■ 불교방송 ‘멱살잡이’ 속내는?
■ 진영 낯뜨거운 ‘박비어천가’…“대통령께 업무보고 가슴 벅찬 감동”
■ 청와대, 김학의 성접대 의혹에 ‘허탈’…선긋기 급급
■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귀국한 이유는?
■ 자살한 울산 복지공무원 유서 내용이…
■ 불교방송 ‘멱살잡이’ 속내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