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는 북한이 개성공단을 잠정적으로 가동 중단한다고 발표한 데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패트릭 벤트렐 미국 국무부 부대변인은 8일(현지시각) 정례 브리핑에서 “개성공단에서는 5만명 이상의 북한 주민들이 일하고 있다”면서 이렇게 밝혔다. 그는 “개성공단 폐쇄는 경제와 주민들의 삶을 개선하겠다는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안 된다”면서 “이런 방향을 고집한다면 유감스러운 행동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벤트렐 부대변인은 북한의 추가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서는 정보사안을 공개적으로 언급할 수 없다고 전제한 뒤 “추가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직접 위반하는 것으로 압박과 고립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에 미국 시민이 얼마나 체류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정확한 숫자를 알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스위스가 북-미 대화를 중재할 뜻을 미국 쪽에 전달했느냐는 질문에 “스위스의 잠재적 역할에 대해 잘 모르겠다. 점검해 보겠다”고 말했다.
그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전날 ‘어떤 국가도 자신의 이익을 위해 지역과 세계에 혼란을 초래하는 일은 용납할 수 없다’고 발언한 것이 북한을 지칭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즉답을 피했다. 그는 대신 “우리는 중국 측에 북한이 도발적 언사와 위협을 중단하도록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면서 “북한이 의무를 준수하도록 만들기 위해 중국, 러시아 등과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의 발언과 관련해 “우리는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의) 도발적 언사와 위협을 제지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데 대해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국제의무를 준수하도록 하기 위해 중국, 러시아 등과 협력할 것”이라면서 “이 지역의 안정은 역내 모든 국가의 이익과 관련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임박했느냐는 질문에 대해, 카니 대변인은 “이전 행정부의 북한 문제 베테랑들이 말하는 것처럼, 이것은 우리가 과거부터 봐왔던 행동 패턴이라는 점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초강수’ 둔 북한, 핵실험·NLL도발 ‘초초강수’까지 갈까
■ SK 최태원·재원 진술 뒤집어…검찰 “황당한 진술…거짓말 말라”
■ 성균관 ‘횡령 스캔들’ 최근덕 관장 구속영장
■ 타계한 대처 전 영국총리는…
■ 여자를 더 화나게하는 남자의 사과 방법 3가지
■ ‘초강수’ 둔 북한, 핵실험·NLL도발 ‘초초강수’까지 갈까
■ SK 최태원·재원 진술 뒤집어…검찰 “황당한 진술…거짓말 말라”
■ 성균관 ‘횡령 스캔들’ 최근덕 관장 구속영장
■ 타계한 대처 전 영국총리는…
■ 여자를 더 화나게하는 남자의 사과 방법 3가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