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31일 개성공단에서 열릴 계획이던 남북 공동 투자설명회가 최근 남북관계 악화에 따라 무산됐다. 애초 남북은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에 합의했으나, ‘발전’과 ‘국제화’ 등은 사실상 사라지고 가동 중단 이전 상태로 돌아가게 됐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14일 “최근 남북간 3통(통행·통신·통관) 문제 협의가 지연되는 등 개성공단의 발전과 외국기업의 반응 등을 고려할 때 애초 남북간에 합의한 설명회의 취지를 살리기 어렵다고 판단했다”며 “이런 입장을 지난 11일 북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3통 문제 등 추후 여건을 봐가면서 북측과 설명회 일정을 다시 협의할 계획”이라면서도 “북한은 그 뒤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남북은 지난달 개성공단 재가동에 합의하면서 이달 31일 개성공단에서 외국 기업인들을 대상으로 남북 공동 투자설명회를 열기로 합의했다. 특히 투자설명회는 개성공단이 다시 일방적으로 중단되지 않도록 ‘국제화’하려는 박근혜 정부의 의도가 강하게 반영된 행사였다. 그러나 이번 무산에 따라, 국제화는 사실상 물 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개성공단 발전의 핵심 과제로 9월26일 분과위원회 회의가 잡혔던 3통 문제도 북한의 일방적 연기 통보에 따라 사실상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져 있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