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찬 새누리당 의원 합동참모본부 국감서 주장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김성찬 새누리당 의원은 22일 “백령도와 연평도 등 서북도서에 배치된 해안포 대부분이 고철덩어리나 다름 없어 포탄이 발사될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국방위의 합동참모본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이들 해안포는 대부분 1950년에 생산돼 한국전쟁에서 활약한 M46전차와 M47전차의 포탑을 그대로 떼어내 만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국감장에서 서해도서에 배치된 녹슨 해안포 사진을 공개하며, “오래된 전차 포탑을 떼어 내 쓰다 보니 사격통제장치는 당연히 없고 자동으로 방향을 돌리는 구동장치도 없어 100% 수동이다. 병사 한 명은 가로로 돌리고, 또 다른 한 명은 세로로 돌려서 포신 방향을 조정하고 나머지 한 명이 포탄을 집어넣고 윗 부분에 붙어 있는 광학장비로 목표물을 대충 조준해 사격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우리 해안에서 북한 해안까지는 10여 km밖에 되지 않고 가까운 곳은 7km 정도인 곳도 있다”며 “직선거리로 30km 정도 떨어진 북한군 기지에서 공기부양정이나 고속정이 출발해 10여분이면 우리 쪽 해안에 도달하는데 60년 된 녹슨 수동식 해안포로는 북한군을 제압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