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구 국방부 장관(왼쪽 둘째)이 3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과의 간담회에서 군 집단폭행 사망 사건에 대한 보고를 하던 중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윤 일병 집단 구타 사망 사건’ 관련 국방부 질타
“왜 쉬쉬하고 덮으려 했느냐” 은폐 의혹 제기도
“왜 쉬쉬하고 덮으려 했느냐” 은폐 의혹 제기도
육군 28사단 집단 구타 사망 사건과 관련해 새누리당은 3일 오후 한민구 국방부 장관을 불러 긴급 최고위원 간담회를 열고, 군 당국의 대응을 강하게 질타했다.
김무성 대표는 “이건 살인 사건이다. 4월6일 발생한 살인사건인데 왜 쉬쉬하고 덮으려고 했느냐”며 군의 은폐 의혹을 제기했다. 또 “이런 엄청난 사건이 벌어졌는데 왜 문책이 이것밖에 안 되나. 치가 떨려서 말이 제대로 안 나온다”며 ‘부실 문책’도 비판했다. 김 대표는 세 차례나 책상을 내리치는 등 분노를 드러냈다. 그는 간담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일제 때 고문만행을 연상케 하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국회 국방위원장인 황진하 의원도 “국민의 자제들을 맡아 국방의 의무를 하고 난 다음에 건강하고 튼튼하게 보내드리는 게 군의 기본적인 임무인데, 이런 상황에서 국민이 어떻게 자기 자식을 군대에 보내나. 책임자 한 사람만이 아니라 국민 앞에 전부 무릎 꿇고, 군복 벗어던질 각오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문했다. 국방위 여당 간사인 김성찬 의원도 “4월6일에 (이 사건이) 있었고 (사태의) 심각성을 알았다면, 22사단 (총기난사) 사건도 막을 수 있었다. 지휘부가 책임져야 한다”며 강도 높은 문책론을 제기했다.
이에 한민구 장관은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매우 유감스럽고 죄송하다. 이번을 기회로, 군 장병 개개인의 인격이 보장되고 인권이 존중되도록 각별한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