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조선노동당 제1비서가 군부대 연합협동훈련을 참관하고 각급 부대와 지휘관들의 작전지휘능력 향상을 강조했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23일 보도했다. 사진은 김 제1비서가 군 지휘관들과 이야기하는 모습이다. 연합뉴스
북한 국방위, ‘유엔 인권 결의안’ 성토 강경 성명
“미증유의 초강경 대응전…무자비한 보복 세례”
“미증유의 초강경 대응전…무자비한 보복 세례”
북한 최고 권력기구인 국방위원회가 유엔총회 제3위원회에서 북한 인권 결의안이 통과된 것과 관련해 23일 성명을 내어 “미증유의 초강경 대응전에 진입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방위는 초강경 대응전이 무엇을 가리키는지는 명시적으로 언급하진 않았다. 그러나 “유엔은 20여년 전 공화국이 나라의 최고이익을 수호하기 위해 정의의 핵선언 뇌성을 울렸던 때를 상기해볼 필요가 있다”며 1993년 핵무기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사실을 거론해 제4차 핵실험 가능성을 내비쳤다.
국방위는 초강경 대응전의 대상으로 미국과 일본, 남한 등을 꼽았다. 국방위는 ‘박근혜 패당’이란 원색적 용어를 동원해 박 대통령 등을 비난한 뒤 “이 땅에 핵전쟁이 터지는 경우 과연 틀고앉아 있는 청와대가 안전하리라고 생각하는가”라고 협박했다. 미국에 대해선 “여러 명의 미 국적 범죄자들에게 인도적 관용을 베풀어주었다”며 케네스 배 등의 석방 사실을 상기시킨 뒤 “그러나 미국은 대조선 인권 소동에 광분하는 것으로 응수했으며 그로 하여 우리의 무자비한 보복세례를 받을 첫 과녁이라는 것이 명백해졌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국방위는 북한 인권 결의안에 반대한 러시아와 중국, 베트남, 쿠바 등에 대해 “진심으로 고맙게 생각하고 있으며 영원히 잊지 않을 것”이라고 사의했다.
정부는 이날 외교부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북한이) 유엔의 권위에 도전하면서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핵전쟁 위협 등 도발적 언동을 한 데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