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1월 중 남북 상호 관심사를 논의하기 위한 당국간 회담을 열자고 북한에 공식 제의했다. 박근혜 정부 집권 3년차이자 광복 70년을 앞두고 선제적으로 남북회담 복원을 위한 승부수를 띄운 것으로 평가된다.
통준위 정부 부위원장인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29일 브리핑에서 “통준위는 내년 1월 중에 남북간 상호 관심사에 대한 대화를 가질 것을 북측에 공식 제안했다”며 “북측에 전통문을 보냈다”고 밝혔다. 전통문은 류길재 장관 명의로 김양건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겸 대남담당 비서 앞으로 이날 오전 발송됐고, 북쪽은 이를 수령했다.
류 장관은 “내년 광복 70주년, 분단 70년이 되는 해가 적어도 분단시대를 극복하고 통일시대로 나가기 위해 남북이 공동으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 만남을 통해 설 전에 이산가족들의 한을 풀어줄 수 있기를 바란다”며 “통준위 정부 부위원장인 저나 정종욱 민간 부위원장이 서울이나 평양 또는 기타 남북이 상호 합의한 장소에서 북측과 만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회담에서 5·24 조치 해제나 금강산관광 재개 등도 논의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남북 간에 서로 관심있는 사안들은 다 논의할 수 있다는 것이 우리 입장”이라고 말했다.
류 장관은 통준위 명의로 대화를 제안한 데 대해 “통준위의 활동들을 북측에 설명하고 함께할 수 있는 사업들을 함께 추진하는 것이야말로 통일 준비라는 의제에 걸맞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통준위는 내년 광복 70주년을 기념해 △남북축구대회 △평화문화예술제 △세계평화회의 등을 개최하고, 중장기적으로 남북문화협정도 체결해 나가기로 했다”고 소개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