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개성공단 최저임금 인상 문제와 관련해 먼저 종전대로 임금을 받고 나중에 인상분을 정산하겠다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20일 알려졌다.
정기섭 개성공단기업협회 회장은 북쪽 노동자 3월분 임금지급 기한인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북쪽이 일단 종전대로 임금을 받고 나머지 인상된 액수는 나중에 정산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북쪽은 최근 개성공단의 기존 월 최저임금 70.35달러를 일방적으로 75달러로 5.18% 인상한다고 밝혔고, 정부는 “임금인상 상한 5%를 넘는 일방적 인상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기업들의 임금 지급을 막아왔다.
정 회장은 “북쪽이 미지급분에 대해서는 확인서를 써달라는 입장”이라며 “기존에도 임금 지급은 열흘에 걸쳐서 했기 때문에 미지급분에 대한 연체료도 이번 주말까지는 유예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개성공단 최저임금 인상을 둘러싼 남북 갈등이 파열음을 내기 전에 양쪽 당국이 서로 협의할 시간을 주말까지 벌게 됐다. 입주기업들은 그동안 이번 3월 급여와 관련해 기존의 월 최저임금 70.35달러를 적용하되 인상분은 남북 당국 간 협의 결과에 따라 추후 소급 지급한다는 방침을 갖고 북쪽 당국을 설득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정 회장은 “우리 정부가 인상분을 지급하지 말라고 하고 있어 입주 기업들이 곤란해하고 있는 점을 북쪽이 감안한 것 같다”며 “북쪽도 이 문제의 파장이 커지는 것을 원하지는 않고 있다”고 말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 일부는 이날 임금문제 협의 등을 위해 개성으로 방북할 예정이었으나 일정을 취소했다. 정 회장은 “북쪽이 인상 전 임금을 받기로 한 만큼 가장 큰 우려가 해소됐고, 지금 방북해도 뾰족한 해결책이 없다고 보고 방북을 취소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