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공기부양정을 격침하는 2.75인치(70㎜) 유도로켓. 사진 국방과학연구소 제공
3년간 연구 개발 끝에 개발
시험 사격에서 목표물 명중
시험 사격에서 목표물 명중
북한의 ‘공기 부양정’을 격침하는 2.75인치(70㎜) 유도로켓이 이르면 내년 실전 배치된다.
국방과학연구소(ADD)는 26일 2.75인치 유도로켓이 3년간 연구 개발 끝에 개발돼 최근 시험사격에서 목표물을 명중시켰다고 밝혔다. 군은 오는 8월까지 6발의 추가 시험평가를 끝내면 내년 백령도, 연평도 등 서북도서에 전력화할 예정이다.
이 유도로켓은 길이 1.9m, 무게 15㎏, 사거리 5~8㎞로 북한군의 해상 기습 침투용 공기부양정을 격침하는 무기이다. 유도로켓은 발사차량의 표적탐지기가 해상으로 침투하는 공기부양정을 식별·추적한 뒤 표적 정보를 제공하면 발사돼 공기부양정을 명중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특히 표적탐지기를 해안 레이다와 연동할 경우 더 먼 거리의 공기부양정을 탐지해 격침시킬 수 있다. 이 유도로켓 연구 개발에는 지난 2012년부터 700억여원이 투입됐다.
북한은 2012년 서해 북방한계선(NLL) 북방 60㎞ 거리의 황해도 고암포에 공기부양정 70여대를 수용할 수 있는 기지를 완공했으며, 최근 공기부양정을 이용한 기습 침투훈련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