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통일부 남북협력지구발전기획단장(오른쪽)이 16일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제6차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에서 박철수 북한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과 악수하고 있다. 개성/사진공동취재단
남북이 16일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에서 1년1개월 만에 개성공단 공동위원회를 열어 공단 북한 노동자의 임금 및 근로조건, 3통(통행·통신·통관) 문제 등을 놓고 협의를 벌였다.
이상민 통일부 남북협력지구 발전기획단장과 박철수 북쪽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을 수석대표로 한 남북 대표단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제6차 공동위 회의를 열어 이들 현안에 대해 의견 절충을 시도했다. 이 단장은 이날 회의에서 “우리가 머리를 맞대고 진정성을 갖고 협의를 한다면 모든 것들을 잘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부총국장도 “공업지구 활성화를 바라는 기업인들, 북남관계 발전을 바라는 우리 모든 겨레에 좋은 결과를 마련해주는 그런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화답했다. 남북은 이날 밤늦게까지 네차례나 수석대표 회의를 열어가며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남북은 북쪽 노동자의 임금 인상을 둘러싸고 대립해왔다. 북쪽이 지난 2월 최저임금을 70.35달러에서 74달러로 5.18% 인상한다는 방침을 통보한 데 대해, 남쪽은 애초 남북간 합의된 ‘5% 인상 상한선’을 넘는 인상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반발해왔다. 남쪽은 북쪽의 일방적인 조치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고, 북쪽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에서 개성공업지구 노동규정을 개정한 데 따른 조처로 “남쪽에서 간섭할 일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보여왔다.
3통 문제와 관련해선, 남북이 개성공단 상시출입과 인터넷 설치 등에 원칙적 합의를 한 바 있다. 그러나 합의 이행이 지연되면서 개성공단 업체들의 불편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남쪽 대표단은 이날도 3통 문제 조기 이행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성공단 남북공동위는 2013년 8월 남북이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합의서’를 채택하면서 출범했으나, 지난해 6월 5차 회의 이후 열리지 못했다.
개성공단/공동취재단,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