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실무단 전체회의서 결정
“당시 상황과 동일하게 시연”
탄저균 샘플은 폐기…조사 불가
“당시 상황과 동일하게 시연”
탄저균 샘플은 폐기…조사 불가
한·미가 다음달 6일 탄저균 사고 현장인 주한미군 오산 기지를 방문해 공동 조사를 하기로 했다.
한·미 합동실무단은 29일 전체회의를 열어 이렇게 결정했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지난 11일 탄저균 사고 후속조치를 위해 한·미 공동으로 구성된 합동실무단의 이번 현장조사는 오산 미군기지 생물검사실에서 탄저균 샘플 반입 과정과 반입 이후 조치, 폐기 절차 등 사고 전반의 과정을 직접 확인하고 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당시 탄저균 샘플을 취급했던 주요 미국 인사들도 이날 입국해 실제 상황과 동일하게 탄저균 샘플 검사 및 폐기 절차를 시연한다. 국방부는 “현장조사에서 해당 시설과 장비, 노출 우려 인원 등에 대한 관리 및 조치가 국내·외 안전 기준에 맞도록 적절하게 이뤄졌는지 직접 확인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탄저균 샘플 자체는 폐기 처리했기 때문에 샘플 자체에 살아있는 탄저균이 포함됐는지, 얼마나 위험한지 등을 직접 조사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합동실무단은 현장기술평가팀과 생물방어협력절차팀으로 나뉘어 12월까지 탄저균 사고 관련 다양한 의혹과 법적·제도적 보완 방안 등을 검토해 소파 합동위원회에 보고할 예정이며, 북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한·미간 생물방어협력도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는 한국 쪽에서 장경수 국방부 정책기획관을 비롯해 국방부, 질병관리본부, 외교부, 산업부, 관세청 등 12개 기관에서 33명이 참여했고, 미국 쪽에선 로버트 헤드룬드 주한미군 기획참모부장 등 12명이 참석했다.
박병수 선임기자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