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웅 통일부 남북회담본부장(맨 오른쪽)과 황철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서기국 부장(맨 왼쪽)이 26일 오후 판문점 북쪽 지역 통일각에서 ‘8·25 합의’의 핵심 합의사항인 남북 당국회담 준비를 위한 실무접촉을 하고 있다. 통일부 제공
우려했던 ‘급’ 문제는 쉽게 합의
당국회담 의제 쟁점으로 11시간 협의
북은 “금강산 관광 재개” 희망
당국회담 의제 쟁점으로 11시간 협의
북은 “금강산 관광 재개” 희망
남북이 12월11일 북한 개성공업지구에서 ‘남북관계개선을 위한 현안문제’를 의제로 삼아 1차 남북당국회담을 열기로 합의했다. 2007년 이후 8년 만에 열릴 것으로 기대했던 22차 장관급 회담 대신 8·25합의를 바탕으로 차관급 당국회담을 시작하기로 한 것이다.
통일부는 26일 판문점 북쪽 통일각에서 남북 당국회담을 위한 실무접촉을 벌여 이런 내용의 공동보도문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날 낮 12시50분께 시작된 남북 실무접촉은 밤 11시58분께 마무리됐다. 두 차례 전체회의와 다섯차례 수석대표 회의를 거쳐 합의에 이르렀다고, 통일부는 설명했다.
애초 예상과 달리 당국회담 수석대표의 ‘급’은 차관급으로 쉽게 합의를 이뤘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27일 새벽 1시 브리핑에서 “우리 쪽이 당국회담은 지난 남북고위당국자 접촉의 후속회담 성격인 만큼 차관급으로 하자고 처음부터 제안했고 북한도 처음부터 부상급을 단장으로 하자고 제안했다”며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현안을 논의할 수 있는 책임있는 인사가 돼야 한다는 점에서 차관급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나머지 회담대표단은 ‘각기 편리한 수의 인원들로 구성하기로’ 했다.
그간 남쪽은 홍용표 통일부 장관과 북쪽 김양건 통일전선부장(노동당 대남비서)이 수석대표로 나서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북쪽은 통일전선부장 대신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서기국장이 ‘급’이 맞다는 견해를 보여왔다. 그러나 정 대변인은 “우리 정부가 (북한에) 장관급을 요구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다만 우리 쪽 차관급 대표는 황부기 통일부 차관이 아닐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정 대변인은 “차관급으로 합의했다. 구체적 사항은 판문점 연락사무소로 협의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당국회담의 의제가 가장 큰 쟁점이었다. ‘남북관계개선을 위한 현안문제’로 포괄하는 데 가장 많은 시간이 걸린 셈이다. 남쪽은 의제를 포괄적으로 잡자고 주장한 반면, 북쪽은 금강산 관광 재개를 핵심 의제로 삼아야 한다고 고집했다. 정 대변인은 “우리는 당국회담이 제반 무제를 폭넓게 협의하는 채널인 만큼 (의제를) 포괄적으로 해야 한다고 했고 북쪽은 구체적으로 하자고 했지만 결국 우리 쪽에 동의했다”며 “북쪽은 금강산 관광 재개가 당면한 문제라고 했다. 5·24조처 해재 문제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당국회담 장소는 개성공업지구로 정해졌다. 남쪽이 북쪽의 주장을 받아들인 결과다. 정 대변인은 “우리는 서울에서 열자고 제안했지만 북쪽은 왕래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개성공업지구와 금강산, 판문점을 제안했다”며 “여러 상황을 감안해 1차는 개성에서 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이번 접촉에서 남쪽 대표단은 ‘회담’으로 잔뼈가 굵은 김기웅 통일부 남북회담본부장을 수석대표로 김충환 통일부 국장, 손재락 총리실 국장이었다. 북쪽은 주로 남북 사회문화교류 분야에서 일해온 황철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서기국 부장을 수석대표로 김명철·김철영 등 3명이 나섰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