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상봉·금강산 관광 접점 찾을지 관심
11일 개성공업지구(개성공단)에서 열리는 제1차 남북당국회담은 양쪽이 각기 중시하는 이산가족 문제와 금강산관광 재개 문제에서 이견을 좁힐 수 있을지, 상대적으로 공감의 폭이 넓은 스포츠 등 비정치 분야 교류협력 확대 방안에 합의할지, 2차 당국회담 일정을 잡을 수 있을지 등이 관심사다. 미리부터 남북은 서로 중요 의제를 띄우고 견제·압박하며 기선잡기에 나섰지만 전과 달리 수석대표의 ‘격’ 문제는 쉽사리 넘어섰다. 남쪽 수석대표인 황부기 통일부 차관 등 대표단 3명은 11일 오전 8시 서울 남북회담본부를 출발해 오전 10시30분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에서 북쪽 전종수 단장 등 대표단과 만나 회담을 시작한다.
남쪽은 이산가족 문제의 진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8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 운영·상임위원회 합동회의 특강에서 “(남북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서) 가장 강조하는 부분이 전면적 생사확인을 위한 북쪽과의 명단 교환”이라며 “쉬운 것부터 시작해 협력과 교류를 이어갈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산가족 문제를 핵심 의제로 삼되, 금강산 관광 재개 등 정치적 부담이 큰 사안은 단계적으로 풀겠다는 뜻을 내비친 셈이다.
북쪽은 연일 금강산관광을 띄우고 있다. 북한의 주간지 <통일신보>는 5일 ‘민족의 명산을 보고 싶어하는 남녘겨레의 소원을 헤아려’란 글에서 “금강산 관광은 민족화해와 북남관계 개선의 뜻이 담겨 있다”고 썼다. 앞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과 관광특화 웹사이트인 <조선의 오늘>도 최근 각각 ‘명승지의 가을날에’와 ‘대비 속에서 보는 금강산’이란 기사를 내보냈다. 금강산관광 재개 바람을 우회적으로 드러낸 셈이다.
남쪽에서도 금강산관광 재개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만만치 않다. 한국무역협회가 후원하는 남북경협 기업인 모임인 남북교역투자협의회는 1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들과 만나 ‘정부와 민간 부문의 남북경협 분리 운영 입법화’(정경분리 방침 법제화) 등을 요청하며 금강산관광의 조속한 재개를 함께 촉구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통일·외교·안보 전문가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여 3일 발표한 결과를 보면 65.3%가 이산가족 문제와 금강산관광을 묶어서 풀어야 한다고 답했다.
북핵 문제를 의제로 다뤄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대통령 자문 헌법기관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는 8일 정책건의 보고서를 통해 “비핵화를 남북대화의 의제로 설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가 워싱턴에서 회동한 직후 미국 정부가 북한 인민군 전략군 등을 특별 제재 대상에 포함시킨 사실이 알려졌는데, 이런 흐름이 이번 당국회담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주목된다.
한편 북한은 남쪽에 ‘진정성’을 거듭 촉구하고 있다. 노동신문은 9일 ‘이중자세, 양면술책부터 버려야 한다’는 논평을 내어 “지금과 같은 상태라면 회담이 열린다 해도 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남쪽에 “관계개선을 위한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진철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