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노스’ 운영 조엘 위트 주장
“수소폭탄 개발은 아직 못한 듯”
“수소폭탄 개발은 아직 못한 듯”
북한이 2020년쯤 100kt의 폭발력을 가진 증열형 핵무기를 배치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강화형 핵무기로도 불리는 증열형 핵무기는 원자폭탄의 중심부에 핵융합 물질을 조금 넣어 폭발력을 높인 핵무기로, 기술발전 단계로 보면 일반적인 원자폭탄과 수소폭탄의 중간 단계쯤에 해당한다.
북한 전문 웹사이트인 ‘38노스’를 운영하는 조엘 위트 존스홉킨스대 방문연구원은 16일(현지시각) 워싱턴 특파원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우리의 예측으로는 북한이 2020년께 100kt의 폭발력을 가진 증열형 핵무기를 제조할 수 있는 능력에 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국내 과학자들의 예측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이다. 1945년 미국이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한 핵폭탄 위력은 20kt이었으며, 100kt의 위력은 이보다 5배에 이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폭탄의 위력은 20kt, 증열형 핵무기는 40~150kt, 수소폭탄의 위력은 메카톤(1000kt)급 정도로 분류한다.
아울러 위트 연구원은 2020년에 이르면 북한은 수소폭탄 개발에도 상당한 진전을 이룰 것으로 예측됐다. 증열형 핵무기나 수소폭탄이 모두 핵융합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는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수소폭탄 발언은 (현 단계에서) 선전에 불과하고 기술적으로 개발에 성공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위트 연구원은 또 증열형 핵무기를 2020년까지 개발하려면 “반드시 실험을 거쳐야 한다”며 “만일 북한이 더 큰 폭발력을 시험하기에 적합한 다른 장소에서 굴착하는 공사를 진행한다면 이것은 우리에게 단서가 될 것이지만 현재로서는 그런 움직임이 없다”고 말했다.
위트 연구원은 현재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전략적 인내’ 정책을 실패로 규정하고, 북한을 상대로 평화협정과 관계정상화 논의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