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잇단 거론에 첫 공개 발언
전문가들 “핵탄두 실험 가능성”
전문가들 “핵탄두 실험 가능성”
박근혜 대통령은 18일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북한이 최근 5차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도 포착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의 5차 핵실험 ‘징후’를 두곤 국내외 언론·전문가·연구기관 사이에 적잖은 지적이 있었지만, 박 대통령이 직접 공개적으로 ‘경고음’을 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애초 북한의 핵실험 징후는 13일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가 상업용 위성사진을 토대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갱도와 일부 시설에서 차량 움직임이 활발해졌다고 보도해 불거졌다. 이어 <연합뉴스>가 17일 군 정보당국을 인용해 최근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차량과 인원의 움직임이 지난달보다 2∼3배 급증했다며 핵실험 가능성을 언급했다.
하지만 군 당국은 여전히 구체적 정황을 근거로 한 공식 확인을 꺼리고 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18일 정례 브리핑에서 기자들의 거듭된 질의에 “구체적인 내용을 말할 수 없지만 북한이 5차 핵실험을 언제든지 할 수 있는 그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만 말했다.
북한이 5차 핵실험을 한다면, 지하에서 플루토늄이나 우라늄 등 ‘핵물질’을 폭발시킨 지금까지와 달리, 이번에는 ‘핵탄두’를 폭발시키는 실험을 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많다. 기술 측면에서 볼 때 핵실험을 이미 4차례나 한 북한에 이제 필요한 건 소형화된 ‘핵탄두 제작’ 능력의 입증이기 때문이다. 앞서 북한은 지난달 9일 핵탄두 모형 사진을 공개했고, 며칠 뒤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빠른 시일 안에 핵탄두 폭발시험과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탄도 로켓 시험발사”를 지시했다.
북한이 핵탄두 실험을 한다면 두 가지 방식이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첫째 지난달 9일 공개한 것과 같은 핵탄두를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폭발시켜 제대로 폭발하는지, 원하는 폭발력이 나오는지 등을 확인하는 방식이 있다. 둘째 핵탄두에서 기폭장치만 남기고 핵물질은 제거한 뒤 실제 미사일에 탑재해 발사하는 방식도 있다. 이 경우 미사일에 탑재된 기폭장치가 미사일의 비행에 따른 진동과 열, 압력 등을 견디고 원하는 지점에서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