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2 전차
예산 8천억 사업 뒤늦게 알려져
‘현대전 전략엔 부적절’ 비판도
‘현대전 전략엔 부적절’ 비판도
군이 K-2 전차(흑표·사진) 100여대의 추가 생산을 추진하는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8천억원의 대규모 예산 사업인데도 언론에 공개하지 않아 ‘밀실 추진’ 의혹이 제기됐다. 전차 증강이 정밀타격 중심의 현대 전장 환경과 안맞는 주먹구구식 전력증강 계획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국방부 당국자는 12일 “합동참모본부가 작년 10월 K-2 전차 100여대 추가 소요를 제기했고 현재 국방부가 소요 검증 작업을 하고 있다”며 “연말 타당성 조사를 마치면 예산 당국과 협의해 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군은 애초 2011년 K-2 전차 600대 도입을 요구했으나 예산 부족, 작전 환경 변화 등을 이유로 200대로 줄인 바 있다.
앞서 국방부는 지난달 내놓은 ‘국방 중기계획’(2017~2021)에 이미 K-2 전차 100대 추가 생산을 반영해 놓고도 언론에는 공개하지 않았다. 추가 도입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 것을 우려해 숨긴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국방부 당국자는 “중기계획 발표 때는 ‘킬 체인’과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 계획 위주로 설명하느라 자세한 설명이 누락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K-2 전차는 대당 가격이 80억원으로 100대 추가 생산은 8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이다. 이런 대규모 예산사업의 설명을 빠뜨렸다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는 반응이 많다.
현대전의 양상이 원거리·정밀타격 위주로 바뀌고 북한도 핵·미사일 위협을 핵심 억제전략으로 삼고 있는 마당에, 전방지역 전차 보강에 수천억의 예산을 투입하는 건 시대착오라는 비판도 나온다. 북한은 최근 ‘선군호’, ‘천마호’ 등 신형 전차를 도입해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군 당국자는 “우리도 올해부터 ‘탱크 킬러’인 아파치 헬기 36대(1조8000억원 규모)와 신형 대전차미사일 ‘현궁’ 등을 들여온다”며 “전차 증강은 중복 투자의 의미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군 주변에선 육군이 최근 전력증강 우선순위에서 해·공군에 밀린다는 위기감 때문에 K-2 전차 추가 생산 소요를 제기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제기된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