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자 “지난주 순차 퇴소… 함께 살진 않아”
“당사자들 인터뷰 원치 않아”
“당사자들 인터뷰 원치 않아”
지난 4월 중국 저장성 닝보의 북한식당 ‘류경’에서 이른바 ‘집단탈북’한 지배인과 종업원 등 13명이 최근 국가정보원 조사를 마치고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옛 합동신문센터)에서 나온 것으로 16일 확인됐다. 이들 13명이 4월7일 국내에 입국한 직후 정부는 이례적으로 ‘집단탈북’ 사실을 공개했고, 국정원 보호센터 조사 뒤에도 통일부 북한이탈주민지원사무소(하나원)에 보내지 않았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탈북 종업원들이 사회로 나갔다”고 확인하고, “본인들이 신변에 대해 알려지는 것과 인터뷰 등을 원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당국자는 “인원이 많기 때문에 하루에 다 나오지 않고 지난주에 순차적으로 퇴소했다. 이들이 모두 같이 살지는 않고 본인 의사에 따라 살 곳을 택해 살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국정원 보호센터에 4개월여 동안 수용된 뒤 배출됐다. 국정원과 수사기관은 탈북자를 최장 6개월까지 보호센터에서 합동신문할 수 있지만, 이는 위장탈북이나 간첩 혐의 등 의심스러운 부분이 많을 경우다. 그러나 이번 13명은 이미 정부가 ‘집단탈북’이라고 공개했기에 합동신문을 길게 벌일 까닭이 없었다.
또한 정부는 지속적으로 이들의 외부 접촉을 차단해, 정부가 개입한 ‘기획탈북’ 의혹의 확산을 막기 위한 것이라는 관측이 대두돼왔다. 국정원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의 인신구제청구서 부본을 이들에게 송달하는 절차마저 두 차례 거부했고, ‘집단탈북’ 조사에 나선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의 접견 요청도 거절한 바 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