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처 “장군묘역 통합 여부는 3~4년 뒤 결정”
국립 대전현충원이 앞으로 장교묘역과 사병묘역을 구분하지 않고 통합 안장한다고 국가보훈처가 9일 밝혔다.
보훈처는 이날 자료를 내 기존 장교 묘역이 모두 들어차게 되는 이번 달부터 장교·사병 구분하지 않고 모두 현재 안장 여력이 있는 기존 사병 제3~4묘역에 안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국립 대전현충원은 1979년 국립묘지로 조성된 이후 장교묘역과 사병묘역을 안장자 신분에 따라 구분해왔다. 대전 현충원은 내년 7월 완공을 목표로 추가 조성 중인 묘역(1만7천기)도 장교·사병통합 묘역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그러나 장군 묘역은 이번 통합 운영에서 제외했다. 보훈처 관계자는 “장군 묘역은 아직 163기 정도 여유가 있다. 장군 묘역은 2015년 43기, 지난해 49기가 안장됐다. 이런 추세로 보면 아직 3~4년 여력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장군 묘역이 모두 차게 되면 그 때 어떻게 할지 논의하게 되겠지만, 앞으로 신분을 가리지 않고 통합 안장한다는 큰 흐름에서 예외가 되진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앞서 국립 서울현충원은 2006년 3월부터 운영되고 있는 봉안당에 장·사병 구분 없이 통합 안장하고 있으며, 국립 영천호국원, 국립 임실호국원도 장·사병 구분 없이 통합운영하고 있다.
국립묘지 설치 법은 안장 대상을 국가원수와 애국지사, 국가유공자, 군인·군무원(장군/장교/사병), 경찰관, 소방공무원, 의사상자, 일반공헌자, 외국인 등 9개 묘역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구분하고 있다. 보훈처 관계자는 “국가원수 묘역은 80평(124㎡) 이내로 조성되며, 애국지사와 장군 묘역의 규모는 8평(26.4㎡), 나머지는 모두 1평(3.3㎡)으로 규정돼 있다”고 말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