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만여명 참석 국민화합 행사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리는 제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만명 이상이 참여하는 최대 규모의 국민화합 행사로 치러진다. 18일 오전 10시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리는 기념식엔 5·18 민주유공자·유족뿐 아니라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던 사람들과 세월호 유가족 등이 함께한다. 9년 만에 ‘임을 위한 행진곡’이 제창되고, 5·18 희생자 김재평씨의 딸 소형씨가 편지를 낭독하는 뮤지컬 등 다양한 기념공연도 펼쳐진다. 정부 고위인사와 여야 지도부도 대거 참석할 예정이다.
보훈처는 17일 제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행사 자료를 내어 이렇게 밝혔다. 기념식은 ‘5·18 정신 계승, 정의가 승리하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국민의례, 헌화·분향, 경과 보고, 기념사, 기념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의 차례로 진행된다. 그동안 ‘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 민주화운동이 1997년 정부 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2008년까지 제창됐으나, 이명박 정부 때인 2009년부터 본행사에서 제외됐고 2011년부터는 합창단의 합창으로 불렸다. ‘제창’은 참석자가 모두 함께 부르는 것이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1일 5·18 단체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요구를 거부해온 박승춘 당시 보훈처장을 경질하고, 다음날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5·18 기념식 행사에 포함시킬 것을 지시한 바 있다.
18일 공식 기념식을 전후로 서울·부산 등 전국 각지에서는 지역별 기념식이 열린다. 하루 전날인 17일에는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5·18민주유공자유족회가 주관하는 추모제가 열렸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