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제재 결의에 강력 반발
리용호는 ARF 총회 연설서
“미국 덤빈다면 버릇 가르쳐줄 것”
리용호는 ARF 총회 연설서
“미국 덤빈다면 버릇 가르쳐줄 것”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지난 5일(현지시각) 만장일치로 통과시킨 대북 제재 결의 2371호에 대해 북한은 7일 성명을 내어 강력 반발했다. 성명을 낸 주체를 ‘공화국 정부’로 최대한 격상했다.
북한은 성명에서 “미국은 우리의 대륙간탄도로케트 시험발사를 구실로 경제발전과 인민생활 향상을 완전히 가로막을 것을 노린 ‘제재 결의’ 제2371호라는 것을 조작해냈다”며 “(이는) 우리의 자주권에 대한 난폭한 침해이며 우리 공화국에 대한 정면도전”이라고 규정했다. 북한은 또 “우리 공화국이 새로운 이따위 제재 앞에서 흔들리고 태도를 바꾸리라고 생각하는 것은 터무니없는 망상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반공화국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를 전면 배격한다”며 “미국이 경거망동한다면 그 어떤 최후수단도 서슴지 않고 불사할 것”이라고 추가 도발 가능성을 내비쳤다.
1990년대 이후 북한이 ‘공화국 정부’ 성명을 낸 것은 1993년 3월 핵확산방지조약(NPT) 탈퇴를 일방적으로 선언할 때를 포함해 이날까지 모두 7차례다. 최근엔 지난해 1월6일 북한이 ‘수소폭탄’이라고 주장한 4차 핵실험 직후 ‘공화국 정부’ 명의로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북한은 유엔 안보리가 대북 제재 결의안을 통과시킬 때마다 하루 또는 이틀 사이에 반응을 내놨다. 지난해 3월3일 안보리 결의 2270호가 채택됐을 때, 북한은 이튿날 ‘공화국 정부’보다 격이 낮은 ‘정부 대변인’ 명의로 성명을 내놨다. 이번에 성명 발표 주체를 ‘공화국 정부’로 격상한 것은 원유공급 중단을 빼고 동원 가능한 제재 수단을 사실상 총망라한 결의 2371호에 대해 북이 심각하게 여기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제24차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 참석 중인 리용호 북한 외무상도 이날 오후 총회 연설에서 “미국의 적대시 정책과 핵위협이 근원적으로 청산되지 않는 한 우리는 그 어떤 경우에도 핵과 탄도로케트를 협상탁에 올려놓지 않을 것이며, 우리가 선택한 핵무력 강화의 길에서 단 한치도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이 끝내 군사적으로 덤벼든다면 우리가 지금까지 차근차근 보여준 핵전략 무력으로 톡톡히 버릇을 가르쳐줄 준비가 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정인환 기자, 마닐라/김지은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