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합사령부 본부를 현재 서울 용산 주한미군 기지에서 국방부 청사 구역으로 이전할 계획이라고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이 4일 밝혔다. 용산공원 조성 사업에 장애물로 지적돼온 한미연합사를 용산기지 밖으로 옮기면 공원 조성에 힘이 붙게 될 전망이다.
브룩스 사령관은 이날 서울사이버대에서 열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초청 강연에서 “한미연합사령부의 경우 본부는 서울에 잔류할 것”이라며 “한국 국방부와 합참이 있는 (서울 용산의) 국방부 구역 안에 함께 있음으로써 한-미 동맹의 군사적 역량을 한곳에 집중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한겨레>는 지난해 11월30일 국방부 당국자를 인용해 “한-미가 용산기지 안에 잠정 유지하기로 했던 한미연합사 본부를 가급적 빠른 시기에 용산기지 바깥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브룩스 사령관의 이날 발언은 이 보도 내용을 확인한 것이다.
국방부도 이날 브룩스 사령관의 발언 내용이 알려진 직후 입장 자료를 내어 “한·미는 전작권 전환 시까지 용산기지 내에 잠정 유지하기로 했던 한미연합사 본부를 국방부 부지 내로 이전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고 공식 확인했다.
한미연합사 본부가 용산기지 밖으로 이전하게 되면, 미군의 용산기지 반환 이후 본격 추진될 용산공원 조성 사업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미연합사 터(24만㎡)는 용산공원 전체 면적(243만㎡)의 10%나 되는데다 공원을 남북으로 가르는 위치에 있어 공원 조성에 걸림돌로 꼽혀왔다. 한미연합사 본부의 국방부 경내 이전은 올해 말까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는 용산기지 내 다른 미군부대의 경기도 평택 이전과 맞물려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미는 연합사를 국방부 영내 청사 옆의 합동참모본부(합참) 건물에 한국군과 같이 동거할지 아니면 국방부 영내 다른 건물로 입주할지 등을 놓고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합참 청사는 애초 건설 당시 미군과의 합동작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여유 공간을 확보해 놓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한미연합사가 합참 청사에 입주하게 되면 미군 장비를 가동하는 전기시설 등이 일부 다른 시스템이어서 추가 공사가 필요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 때문에 영내 국방시설본부 등 다른 건물에 들어가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한·미는 박근혜 정부 때인 2014년 10월 제46차 안보협의회의(SCM)에서 한미연합사 본부를 서울 용산기지에 잔류시키기로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는 지난해 5월 출범 이후 한미연합사 본부를 용산기지 바깥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강력히 추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