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균 통일부장관이 1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에 대한 후속 조치를 발표하기 위해 브리핑실로 들어서고 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2년1개월여만 재개되는 남북 당국회담을 하루 앞둔 8일 통일부는 막바지 회담 준비에 이른 아침부터 분주했다.
남과 북은 이날도 오전 9시30분께 업무 개시통화를 하고, 회담에 필요한 내용을 주고 받았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9일 회담은 오전 10시 전체회의가 열리는 것으로 시작된다”며 “평창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 북한 참가 논의에 집중을 하면서 평화올림픽을 위해 북한에 제의한 사항을 중심으로 (회담을) 준비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백 대변인은 “회담 대책은 차관 주재 전략기획단 회의, 장관 주재 전략회의 등 유관부처 간에 긴밀한 협의를 거쳐 수립했으며, 이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협의를 거쳐 확정됐다”며 “확정된 회담 대책은 통일부 장관이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했다”고 밝혔다.
회담 의제와 관련해 백 대변인은 “남북관계 개선 상호 관심사하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이라며 “특히 (지난해) 7월17일 제의한 시급성이 있는 부분들(군사분계선상 적대행위 중단을 위한 군사당국회담과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위한 적십자회담)에 대해서 중심적으로 논의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번 회담이 판문점 남쪽지역인 평화의집에서 열리기 때문에 북쪽 회담 대표단이 방남하는 형식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통일부는 북쪽 대표단 외에 수행원과 기타 지원인력 등의 명단을 통보받고, 이들의 방남 절차와 회담 당일 편의제공 등에 대한 후속 협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