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왼쪽)과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9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열린 남북 고위급회담 종료회의에 공동보도문을 들고 입장하고 있다. 판문점/사진공동취재단, 연합뉴스
북한이 평창 올림픽과 관련한 실무회담 대신, 올림픽에 파견할 ‘북한 예술단’과 관련한 실무접촉을 먼저 하자고 한국 정부에 ‘역 제안’ 했다. 같은 날 한국 정부는 이 같은 북한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통일부는 13일 “북측이 13일 남북 고위급회담 북쪽 단장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명의 통지문을 남북 고위급회담 남쪽 수석대표 조명균 통일부 장관 앞으로 보냈다”며 “북측은 통지문에서 북측 예술단 파견을 위한 실무접촉을 1월15일 판문점 북쪽 지역 통일각에서 진행할 것을 제의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평창 겨울올림픽에 파견할 예술단과 관련한 실무접촉 대표단으로 모두 4명을 제시했다. 북한이 제시한 대표단에는 단장으로 권혁봉 문화성 예술공연운영국 국장, 대표로 윤범주 관한악단 지휘자, 현송월 관현악단 단장, 김순호 관현악단 행정부단장 등이 포함됐다.
하루 전인 12일 한국 정부는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북한에 평창 겨울올림픽과 관련 남북 실무회담을 판문점 남쪽 지역인 평화의 집에서 열자고 먼저 제안한 바 있다. 그러면서 천해성 통일부 차관을 수석대표로 하고, 안문현 국무총리실 심의관, 김기홍 평창 겨울올림픽 조직위원회 기획사무차장을 대표로 하는 대표단 명단을 제시했다.
하지만 이날 북한은 한국 정부의 제안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대신 예술단 파견을 위한 실무접촉을 먼저 할 것을 역 제안했다. 또 회담 장소도 판문점 남쪽 지역인 평화의 집이 아니라 북쪽 지역인 통일각으로 하자고 제안했다.
통일부는 “북측이 선수단, 응원단 등 북측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와 관련한 실무회담 날짜는 추후 통지하겠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북한이 평창 올림픽과 관련한 전반적인 내용을 논의하자는 한국 정부의 실무회담 제안을 ‘예술단 파견’ 관련 실무접촉으로 바꿔 다시 제안한 것에 대해 통일부는 “북측은 예술단 파견과 관련한 여러가지 실무적 문제들을 우선적으로 협의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국 정부는 북한의 제안에 6시간 만에 답한 것으로 전해진다. 통일부는 “정부는 북측의 예술단 파견을 위한 실무접촉 제의에 대해 남북 고위급회담 남측 수석대표 조명균 장관 명의로 우리측 대표단이 1월15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으로 나갈 것이라고 통지했다”며 “우리측 대표단의 수석대표는 이우성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정책실장, 대표는 이원철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대표이사, 정치용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예술감독, 한종욱 통일부 과장이다”라고 밝혔다. 통일부는 “우리측이 12일 제의한 북측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와 관련한 실무회담 개최에 대해 북측의 조속한 회신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