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수석 특별사절로 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특별사절단이 5일 오후 북한을 방문하기 위해 서울공항에 도착해 특별기에 오르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문재인 정부의 대북특별사절단 파견(대북특사단)에 대해 자유한국당을 제외한 여야가 대체로 환영하는 뜻을 밝히며 호불호가 엇갈렸다.
자유한국당은 비핵화가 전제되지 않은 대북특사단은 의미가 없다며 미리 그 의미를 깎아내렸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5일 원내대책회의에서 “특사단이 놀러가는 것이 아닌 이상 방북 목적은 명확하게 한반도 비핵화에 맞춰져야 한다”며 “어차피 빈손으로 돌아올 것이 뻔한 특사단 파견으로 북한의 명분만 쌓아주고 이용되는 상황이 초래되질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당 내 북핵폐기추진특별위원장을 맡은 김무성 의원도 “폭정과 탄압을 일삼는 정권을 상대로 대화로 풀겠다는 생각인데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문재인 정권의) 이러한 대북정책이 (북한에) 위기를 모면할 시간을 벌어준다는 사실을 잊어선 안된다”고 말했다.
앞서 자유한국당은 전날 장제원 수석대변인 명의의 논평에서 “비핵화 전제 없는 대북특사는 북핵 개발 축하 사절단에 불과하다”며 “위장 평화 쇼”라고 평가절하한 바 있다. 또 서훈 국정원장이 대북특사로 거론되는 데 대해서도 불만을 나타냈었다.
이러한 자유한국당의 ‘혹평’에 대해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자유한국당이 ‘정치적 트집잡기’를 하고 있다며 유감을 나타냈다. 그는 이날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한국당이 특사 자격 운운하며 트집 잡기를 하고 있어 안타깝다”며 “한국당은 남북 소통의 기회를 정략적으로 활용하거나 색깔론 시비를 자제하고 한반도 평화를 위해 초당적으로 협력해달라”고 말했다.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도 한국당의 태도를 비판했다. 그는 이날 열린 당 상무위 회의에서 “한국당은 ‘비핵화의 전제 없는 대북특사단은 북핵 개발 축하 사절단에 불과하다’는 저주를 쏟아냈다”며 “이럴 바에는 당명을 ‘자유한국당’에서 ‘저주한국당’으로 바꾸는 게 나을 것”이라고 비꼬았다.
대체로 민주당을 비롯해 정의당, 민주평화당 등은 북핵 특사 파견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민평당 박지원 의원은 이날 <시비에스>(CBS) 라디오에 출연해 “한국, 미국, 북한, 중국 등의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해 보면 북미 간 대화 분위기는 무르익었다”고 평가하며 “북한이 핵 동결을 암묵적으로 시사 한다면 북미 대화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같은 날 장병완 민주평화당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에서 “평창올림픽으로 조성된 남북 평화체제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잘 한 일”이라며 “한번에 모든 것을 할 수 없기에 성과에 집착할 필요는 없다”고 독려하기도 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대북특사단의 방북과 방미가 한반도 전쟁위기를 타개하고 얼어붙은 남북관계를 녹이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바른미래당도 대북특사단 파견에는 대체로 환영하는 뜻을 보였지만, 공동대표간 미묘한 입장 차이는 드러났다. 5일 광주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바른미래당의 박주선 공동대표는 “교착된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열 수 있는 최고의 기회”라며 “최대한 노력해 한미 동맹의 굳건한 지원 속에서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북미 대화가 성사되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유승민 공동대표는 “대북특사단에 대한 자격 시비는 더 이상 하지 않겠다. 어떤 성과를 거둘지 그 성과에 따라 대응을 결정하겠다”며 판단을 유보했다. 이어 “대북특사단은 김정은에게 비핵화에 대한 분명한 대답을 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