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통 여론조사 결과
시민 10명 가운데 7명은 4월 말 열릴 남북정상회담이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정착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통령 자문기구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가 지난 15일부터 18일까지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2018년도 1분기 국민 통일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70.1%가 4월 남북정상회담이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정착에 기여할 것’이라고 답했다. ‘기여하지 않을 것’이란 답변은 25.2%에 그쳤다. 남북정상회담 의제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50.3%가 ‘한반도 비핵화 추진’을 꼽았고, 군사적 긴장 완화(36.8%),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33.4%), 이산가족 상봉 등 인도적 문제 해결(32.2%) 등이 뒤를 이었다.
향후 남북관계에 대해서도 응답자 10명 가운데 6명(62.2%)은 ‘좋아질 것’이라고 긍정적인 전망을 했다. ‘변화가 없을 것’(27.2%)이라거나 ‘나빠질 것’(6.4%)이란 의견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 응답자 2명 중 1명(50.1%)이 북한을 ‘협력·지원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통일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 10명 가운데 8명(79%)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지난 5~6일 평양에 다녀온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특별사절단의 성과로는 ‘북한의 비핵화 및 북-미 대화 의사 표명’(38.1%)을 1위로 꼽았다. ‘대화 기간 핵·미사일 실험 중단 및 대남 핵·재래식 무기 불사용 확약’(20.1%), ‘3차 남북정상회담 판문점 개최 합의’(17.3%)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정부의 대북정책에 공감한다는 응답은 69.6%로, 공감하지 않는다(26.9%)는 답변을 크게 앞질렀다. 이번 조사는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3.1%포인트이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
이슈한반도 평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