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담 수행단 면면 보니
남북 정상회담 수행단에
군부 핵심 포함은 처음
군사작전 지휘 리명수 총참모장
군 대표 박영식 인민무력상 함께
북에 맞춰 정경두 합참의장도 합류
NLL 평화수역 복원 등 논의할 듯
남북 정상회담 수행단에
군부 핵심 포함은 처음
군사작전 지휘 리명수 총참모장
군 대표 박영식 인민무력상 함께
북에 맞춰 정경두 합참의장도 합류
NLL 평화수역 복원 등 논의할 듯
북쪽이 통보해온 남북정상회담 공식 수행원은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김영철 당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최휘 당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리수용 당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김여정 당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리명수 총참모장, 박영식 인민무력상, 리용호 외무상,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등 9명이다. 남쪽 공식 수행원엔 이날 정경두 합참의장이 새로 합류해 임종석 비서실장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송영무 국방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함께 7명으로 확정됐다.
북한이 이번 남북정상회담의 공식 수행원에 리명수 총참모장과 박영식 인민무력상 등 군부 핵심인사를 포함시킨 것은, 회담의 3대 의제 중 하나인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정착’과 관련해 남북간 긴장완화 조처와 군사 신뢰구축 방안 등을 적극 추진할 의지가 있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남북정상회담 공식 수행원에 군사작전을 실질적으로 지휘하는 군부 최고위 인사가 포함된 것은 처음이다. 2000년 6월 김대중 대통령-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첫 정상회담 때 공식 수행원엔 군부 인사가 없었다. 당시 합의문인 6·15 공동선언에서도 군사 문제는 거론되지 않았다. 2007년 10월 노무현 대통령-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두번째 정상회담 때는 김장수 국방부 장관이 공식 수행했다. 김 장관의 수행은 10·4 정상선언에서 “서해 평화수역”을 위한 “군사 신뢰구축 조치” 등을 협의하기로 한 것을 실무적으로 뒷받침하려는 것이었다. 김 장관은 군 출신이지만 민간인 각료 신분이었다.
리명수 총참모장은 북한군의 군사작전을 총괄 지휘·통제하는 군부 내 최고 군령권자로 남쪽의 합참의장에 해당하며, 박영식 인민무력상은 군을 대외적으로 대표하며 군사행정을 책임지는 각료다. 북쪽이 이처럼 군령과 군정을 대표하는 두 인사를 이례적으로 공식 수행원에 포함시킨 것은 그만큼 남북간 긴장완화 추진 의지가 크다는 뜻으로 읽힌다. 임종석 실장은 이날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 정착, 남북간의 긴장 완화에 대한 내용들이 중요하게 다뤄지기 때문에 수행원에 군 책임자를 포함한 것으로 이해한다”고 말했다.
특히 눈길을 끄는 대목은 군부 인사의 공식 수행원 포함이 북한의 선제적 조처라는 점이다. 북한이 이날 전격적으로 군부 인사를 포함시킨 수행원 명단을 보내오자, 남한도 이에 맞춰 정경두 합참의장을 공식 수행원에 추가한 것이다. 북한의 적극성은 긴장 완화 의지가 빈말이 아님을 재확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남북간에 비핵화와 관련해선 구체적인 합의보단 비핵화 의지를 공개적으로 확인하는 선에 머물 공산이 크다. 임종석 실장도 이날 “뚜렷한 비핵화의 의지를 명문화할 수 있다면…이번 회담은 매우 성공적일 것”이라며 “그러면 북-미 회담으로 이어지는 길잡이 역할로서 아주 훌륭하지 않을까 이렇게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군사적 긴장 완화나 신뢰구축 조처와 관련해선 남북간 합의할 수 있는 내용이 적지 않다. 또 이들 사안이 이행되면 실제 한반도 군사적 긴장 완화와 평화 정착 등에 가시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이번 회담에서 △남북을 가르는 비무장지대(DMZ)에서 전초기지(GP) 철수 △비무장지대 내 평화공원 조성이나 산불 공동진화 등 시범사업 △서해 북방한계선(NLL) 평화수역 복원 등을 제안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이 주도적이고 공세적으로 나서는 것으로 미뤄 남북간 군사 긴장 완화 등에서 전례없는 진전을 이룰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이슈한반도 평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